서희스타힐스

​日정부 수출규제에..."우리도 불편하다" 日중소기업 볼멘소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태언 기자
입력 2019-07-08 14: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반도체 대체 납품 쉽지 않아"

일본 아베 신조 정권의 '대 한국 수출규제' 움직임에 대해 현지 중소기업 사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들끓고 있다. 이들은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을 우려하며 "우리도 불편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일본 영자지 재팬타임스는 8일 일본 정부가 지난 4일부터 국내 제조업체에 불소화 폴리이미드, 고순도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등 주요 반도체 소재 제품에 대한 한국 수출 신청서를 제출할 것을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일본 중소기업들의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반도체 장비업체 포토레지스트 제조사인 도쿄오카공업의 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아직 모든 것이 명확하지 않다”며 “불명확한 무역절차가 제조 및 운송 계획을 혼란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포토레지스트를 주요 한국 대기업에 판매한다”며 "자칫하다간 반도체 전체 공급망이 마비될 수 있다. 상황을 주의깊게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순도 불화수소 분야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자랑하는 스텔라공업도 불화수소의 대체 공급망과 관련해 아직 구제적인 (한국의) 대안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사나이 아츠시 일본 와세다 경영대학원 교수는 “불소화 폴리이미드는 다른 나라의 다른 제조업체에도 제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피해가 적을 수 있지만 불화수소 제조사들은 한국 수출량이 많아서 큰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불소화 폴리이미드는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데도 사용되지만 고순도 불화수소(애칭가스)와 레지스트는 반도체 제조에만 집중적으로 쓰인다.

신문은 특히 이러한 상황에서 대기업은 다른 반도체 제조사로 납품을 전환할 수 있지만 소규모 일본 제조기업들은 한국 반도체 업체와 밀접한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도쿄 소재 한 제조사 대표는 “회사는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제품 상당 규모를 한국 기업에 수출해왔다”며 “한국 업체에 직접 제공하는 중소업체는 많지 않지만 한국에서 생산이 중단된다면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공급업체를 전환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한국 기업의 생산 능력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는 철저한 금지 및 제한이 아니라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래픽=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