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국내 30개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을 초청해 일본의 보복 무역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뾰족한 해법이 없어 장기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재계는 이번 사건이 양국 간 강제징용, 위안부 문제 등 정치·외교적 문제에 기인한 만큼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10일 개최된 간담회에서 문 대통령은 정부와 기업이 상시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민관 비상 대응체제' 조직을 주문했다. 또 부품·소재를 국산화하기 위해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에 적극 나서줄 것도 당부했다.
재계는 기업 차원에서 특별한 대책 마련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재계 관계자는 "상황이 시급한 만큼 정부와 기업이 만나 소통 채널을 가동하겠다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공개적으로 어떠한 입장도 밝히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정부가 일본의 보복 조치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나선 상황에 정부 눈치도, 일본 눈치도 봐야하는 난처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내에서 정부와 정치권들이 기업을 앞세우는 모양새가 연출되고 있다"며 "섣불리 나섰다가 향후 일본 사업에 악영향을 주게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화학업계 한 고위임원은 "최근 사태를 보면서 수입처 다변화와 핵심 소재 내재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일본은 소재·부품 등에서 기술이 앞서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서플라인 체인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재 국산화를 통해 자체 경쟁력을 기르면 된다고 생각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국내 기업 입장에서도 일본과 서로 잘하는 부분을 주고받으며 가격 경쟁력을 만들어 가는 게 훨씬 유리하다"며 "관계 회복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기업들은 총수의 발언과 전략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청와대 행사에서 많은 얘기들이 오간 것 같지만 대외적으로 아무것도 공개되지 않았다"며 "최근 총수가 정부 행사에 잇달아 참석하면서 내부 보안에 더욱 신경 쓰는 것 같다"고 귀띔했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수출 규제 품목과 관련된 전자업계 CEO들이 주로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장단기 대책이 오가며 회의시간도 당초 예상보다 길어졌다.
한편, 전날 서울 종로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산업미래전략포럼'에서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은 극도로 신중한 분위기였다.
반도체 업계를 대표해 토론자로 참석한 강인엽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사장은 행사 도중 사회자와 참석자들이 일본의 무역 보복에 관한 삼성의 대응책을 여러 차례 물었지만 "어느 쪽으로 답변을 드려도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며 "이해해달라"고 선을 그었다.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도 "오늘은 이야기를 들으러 왔다"며 기자들의 질문에 특별한 대답을 하지 않았다.
지난 7일에는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날 간담회에 앞서 삼성, 현대차, SK, LG 등 4개 그룹 총수와 만나 일본 수출 규제에 대해 사전 논의를 하기도 했다.
임종화 경기대 무역학과 교수는 "한·일 관계가 정치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기업인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럴 때일수록 정치와 경제는 별개라는 프레임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재계는 이번 사건이 양국 간 강제징용, 위안부 문제 등 정치·외교적 문제에 기인한 만큼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10일 개최된 간담회에서 문 대통령은 정부와 기업이 상시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민관 비상 대응체제' 조직을 주문했다. 또 부품·소재를 국산화하기 위해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에 적극 나서줄 것도 당부했다.
재계는 기업 차원에서 특별한 대책 마련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재계 관계자는 "상황이 시급한 만큼 정부와 기업이 만나 소통 채널을 가동하겠다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공개적으로 어떠한 입장도 밝히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정부가 일본의 보복 조치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나선 상황에 정부 눈치도, 일본 눈치도 봐야하는 난처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화학업계 한 고위임원은 "최근 사태를 보면서 수입처 다변화와 핵심 소재 내재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일본은 소재·부품 등에서 기술이 앞서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서플라인 체인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재 국산화를 통해 자체 경쟁력을 기르면 된다고 생각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국내 기업 입장에서도 일본과 서로 잘하는 부분을 주고받으며 가격 경쟁력을 만들어 가는 게 훨씬 유리하다"며 "관계 회복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기업들은 총수의 발언과 전략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청와대 행사에서 많은 얘기들이 오간 것 같지만 대외적으로 아무것도 공개되지 않았다"며 "최근 총수가 정부 행사에 잇달아 참석하면서 내부 보안에 더욱 신경 쓰는 것 같다"고 귀띔했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수출 규제 품목과 관련된 전자업계 CEO들이 주로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장단기 대책이 오가며 회의시간도 당초 예상보다 길어졌다.
한편, 전날 서울 종로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산업미래전략포럼'에서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은 극도로 신중한 분위기였다.
반도체 업계를 대표해 토론자로 참석한 강인엽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사장은 행사 도중 사회자와 참석자들이 일본의 무역 보복에 관한 삼성의 대응책을 여러 차례 물었지만 "어느 쪽으로 답변을 드려도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며 "이해해달라"고 선을 그었다.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도 "오늘은 이야기를 들으러 왔다"며 기자들의 질문에 특별한 대답을 하지 않았다.
지난 7일에는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날 간담회에 앞서 삼성, 현대차, SK, LG 등 4개 그룹 총수와 만나 일본 수출 규제에 대해 사전 논의를 하기도 했다.
임종화 경기대 무역학과 교수는 "한·일 관계가 정치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기업인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럴 때일수록 정치와 경제는 별개라는 프레임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10/20190710220559489795.jpg)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일본 정부의 대(對)한국 수출 규제에 대한 대책 논의를 위해 7일 오후 서울 김포공항을 통해 출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