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고를 통해 최종적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차세대 ICT융합집적화센터), 한국과학기술원(바이오코어센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바이오이미징 연계분석 지원 플랫폼 핵심시설), 한국화학연구원(화학물질·제품 환경규제대응 종합분석플랫폼)의 총 4개 시설이 선정됐다.
지난해 시범사업 이후 올해 본사업으로 추진되는 핵심연구지원시설 조성 사업은 그 동안 출연연 등의 공공기관에 구축된 고가 연구장비들의 공동활용을 촉진하고자 추진되는 사업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15/20190715101518307589.jpg)
[과기정통부 로고]
과기정통부는 기존 장비를 핵심연구지원시설로 옮기고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시설조성비용과 연구장비 유지·보수비, 장비전담인력 인건비 등 시설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3년간 지원한다.
시설이 안정적으로 운영돼 향후 3년 후에는 자립할 수 있도록, 사업 초기단계에 시설·장비 운영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컨설팅단을 구성해 밀착 지원한다. 외부 연구자들도 공동활용 할 수 있도록 예약시스템도 운영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국가 R&D 예산으로 구축된 장비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공공기관의 연구시설이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대내외에 개방함으로써 국가 R&D 혁신역량 향상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촉매제가 되길 바란다”며 “과기정통부에서는 앞으로도 연구장비의 공동활용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