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3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뒤 회견에서 이번 금리인하의 성격을 '중간주기 조정(midcycle adjustment)'이라고 규정했다. 장기적인 금리인하 주기의 시작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이다.

3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회견 중계방송을 보고 있다.[사진=로이터·연합뉴스]
연준의 금리인하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12월 이후 10년 7개월 만이다. 2015년 말부터 지난해 말까지 금리를 9차례 올린 뒤이기도 하다. 이번 금리인하가 연준의 통화완화 기조 복귀를 알리는 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했던 시장은 실망할 수밖에 없었다. 연준에 대폭적인 금리인하를 압박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언제나처럼 파월이 우리를 실망시켰다"고 썼다.
실제로 파월 의장에 대한 시장의 실망은 새로울 게 없다. 마켓워치는 파월 의장이 이날까지 FOMC 정례회의를 11번 주재했다며, 회의 뒤에 증시가 랠리를 펼친 적은 두 번밖에 안 된다고 지적했다. 금리인상 행진 끝에 연내 금리동결 신호를 보낸 지난 1월과 이번 금리인하를 강하게 시사한 지난달이 그랬다.
마켓워치는 금리인하 폭이 클수록 3~6개월 뒤의 증시 수익률은 뒷걸음질치는 경향이 있다며, 증시 랠리에 최적인 인하폭은 0.25%포인트라고 지적했다. 연준이 금리를 0.25%포인트 높인 뒤 3개월간 S&P500지수는 3.67% 올랐고, 6개월 동안에는 5.64% 뛰었다. 반면 금리인하 폭이 0.50%포인트, 0.75%포인트였을 때는 3개월, 6개월 뒤에 모두 주가가 1~4% 하락했다.
금리인하 폭이 클 때 증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건 경기가 좋지 않을수록 금리인하 폭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연준의 이번 금리인하는 파월 의장이 말한 대로 보험 성격이 짙다. 경기부진에 직접 대응한 게 아니라 미중 무역·전쟁을 비롯한 하방위험 대비한 조치라는 얘기다.
마켓워치는 완만한 금리인하가 시장에 더 지속적인 부양 효과를 낸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투자자는 물론이고, 연준에 대규모 금리인하를 압박해온 트럼프 대통령도 이 사실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