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7월 수출액이 461억3600만 달러를 기록, 작년 같은 달보다 1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수출은 지난해 12월(-1.7%)을 시작으로 올해 1월(-6.2%), 2월(-11.3%), 3월(-8.4%), 4월(-2.1%), 5월(-9.7%), 6월(-13.7%)에 이어 8개월 연속 감소했다.
박태성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수출 부진 원인에 대해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일본의 수출규제 등 대외 여건 악화, 반도체 업황 부진 및 단가 하락, 국제유가 회복 지연에 따른 석유화학·석유제품 부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자동차(21.6%), 자동차부품(1.9%), 가전(2.2%) 등 또 다른 주력 품목과 함께 신(新)수출동력품목인 바이오헬스(10.1%), 화장품(0.5%), 농수산식품(8.7%) 등은 선방했다. 아세안(ASEAN·0.5%), 독립국가연합(CIS·14.5%) 등 신남방·신북방 시장 수출은 증가한 것도 다행스러운 점이다.
한국의 대일 수출은 0.7% 소폭 하락하는 데 그쳤다. 올해 상반기 대일 수출이 평균 6.0% 하락한 것을 고려하면 오히려 낙폭을 줄인 것. 이는 일본의 조치가 일본 기업의 대(對)한국 수출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까진 한국의 대일 수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일 수입은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이 포함된 부품·소재·장비 부문의 하락세 속에서 9.4% 줄었다. 반도체 제조용장비 2.2%, 고철 7.9%, 기타합성수지 4.2%, 슬랩 34.1%, 기타정밀화학제품은 39.4% 하락했다. 산업부는 일본 조치의 영향이 일부 반영됐으나 한국의 반도체 등 주력 품목 세계 수출이 줄면서 중간재 수입 또한 감소한 것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소재·부품산업은 대일 의존도가 높은 편이어서 이들 품목의 수입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완제품 수출 또한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일본이 입을 타격도 만만찮다. 일본은 수교 이후 한국과의 무역에서 한 번도 적자를 내지 않았다. 일본으로서는 주요한 수출국을 잃는 셈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일본이 (한국에 대해)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를 취할 경우 그간 준비해 온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한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민·관의 역량을 총동원해서 철저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WTO 제소와 함께 양자·다자 차원에서의 통상대응을 강력하게 전개하고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조기 물량 확보, 대체 수입처 발굴, 핵심 부품·소재·장비 기술개발 등을 위해 세제·연구개발(R&D) 자금·무역보험 등 범부처 가용수단을 총력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