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과 일본의 소재·부품기업 1만117개사(한국 2787개사, 일본 7330개사)를 대상으로 업체당 R&D 지출액을 조사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소재 생산기업 5곳 중 3곳 꼴로 일본 기업의 R&D 지출액이 한국보다 많다. 소재 부문에서 일본 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은 한국 기업의 1.6배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 1차 금속 분야가 5.3배, 섬유 분야가 5.1배, 화합물 및 화학제품 분야가 3.1배다.
평균 매출(17.9배), 평균 당기순이익(23.3배), 평균 자산(20.5배) 등 주요 재무 항목에서도 크게 차이가 났다.
반면 부품 부문에선 일본 기업의 R&D 지출액이 한국의 40%에 불과했다. 반도체 등 전자부품에서 한국 기업의 R&D 지출액이 일본의 8.2배에 달했다.
다만 반도체를 제외한 부품 부문만 보면 일본 기업의 R&D 지출액이 60% 더 많다. 전자부품에서도 반도체를 제외하면 일본 기업의 R&D 지출액이 3.7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한국기업의 반도체 R&D 지출액이 워낙 크기 때문에 그만큼 착시효과가 큰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국내 소재·부품산업은 반도체 쏠림이 심한 반면 화학, 정밀부품 등 다른 핵심 소재·부품에서 갈 길이 멀다"며 "꾸준한 R&D 지원과 화평법, 화관법 등 화학물질 관련 규제 및 노동 관련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