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 제도가 정착되면 오는 2022년부터 연간 235만명 규모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고용노동부는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구직자 취업 촉진 및 생활 안정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국민취업 지원제도는 청년, 경력 단절 여성, 자영업자 등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저소득층 구직자의 취업을 돕기 위해 도입됐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추진 설명하는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사진=연합뉴스]
구직촉진수당을 받으려면 만 18∼64세,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청년 120% 이하), 재산 6억원 이하 등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중위소득이란 총가구 중 소득 순위가 가운데 있는 가구를 뜻한다. 흔히 중위소득의 50% 미만은 빈곤층, 50~150% 중산층, 150% 초과는 상류층으로 분류된다.
신청자는 전국 소재 고용센터에서 상담을 거쳐 작성한 취업 활동계획서에 따라 구직활동을 하게 된다. 이때 월 50만원씩 6개월간 최대 300만원을 지원받는다.
취업 지원 서비스는 대상이 만 18∼64세와 중위소득 100% 이하(청년 120% 이하)로 구직수당보다는 요건이 덜 까다롭다. 취업활동계획서를 토대로 직업훈련, 복지·금융 지원 연계 등 구직활동에 필요한 것들을 지원받게 된다.
이 서비스는 전역을 1년 정도 남긴 장병들도 대상이다. 북한이탈주민, 한부모 가정, 위기 청소년 등은 소득 요건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해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고용부는 국민취업지원제도를 내년 하반기 35만명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2022년까지 60만명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임서정 고용부 차관은 “제도가 정착되는 2022년부터는 연간 235만이 일자리 지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