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성윤모 장관 주재로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원전수출전략협의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원전 전(全) 주기 수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전, 한수원, 두산중공업, 수출입은행 등 원전 관련 공기업과 민간기업, 수출금융기관 등 16개 기관장과 대표들이 참석했다.
성 장관은 "우리 원전 수출 산업도 원전 전 주기, 중견·중소기업 중심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중견·중소기업의 독자적 수출역량 확보, 글로벌 공급망 참여, 운영·정비·해체 등 다양한 서비스 시장 진출 등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원전시장은 향후 20여년 간 약 1000억달러 규모로 예상하는 신규 원전시장과 그와 대등한 규모의 운영·정비 및 후행 주기(해체 등) 분야로 구성된 전주기 시장으로 나뉜다.
정부는 바라카 원전 사업으로 건설, 운영, 정비 면에서도 경험과 경쟁력을 확보한 만큼 원전 해체까지 아우르는 전 주기 시장을 적극 공략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특히 중소·중견기업이 독자적으로 시장개척에 나설 수 있도록 마케팅, 수출금융(자금지원, 해외인증 비용 등), 연구개발 등 실질적 지원책에 나선다. 그간 국내 원자력 산업은 중소(82%), 중견(9%)기업이 대부분이나 수출은 대기업·대규모 사업에 의존해 왔다. 이 때문에 원전기자재 핵심기업 92개 중 독자 수출 경험을 가진 중소·중견기업은 14개사(15%)에 불과하다.
이번 협의회를 계기로 원전업계에 대한 금융지원을 위해 한전, 한수원, 무역보험공사, 수출입은행, 원전 수출협회 등 5개 기관은 '원전 수출분야 금융지원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으로 이들 기관이 참여하는 실무그룹 협의를 통해 원전수출 패스트트랙을 신설, 금융권 심사기간 최소화 등 구체적 수출금융 지원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번에 발표한 전략을 바탕으로 나라별 맞춤형 수주·협력 전략을 시행하고, 해외마케팅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