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국내 벤처투자 M&A 회수 '쥐꼬리'…“대기업 자금 유입경로 확대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보훈 기자
입력 2019-09-27 10: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대기업 미래기술 확보에 과감한 투자…국내 벤처기업은 찬밥

  • “M&A 시각 바꾸고, 소재‧기술기업 집중 육성해야”

대기업이 4차 산업혁명 관련 미래기술 확보를 위해 자금을 풀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 자율주행기술업체 앱티브(APTIV)와 함께 40억 달러(약 4조8000억원)를 들여 조인트벤처(JV)를 설립하기로 했고, 삼성전자는 80억 달러(약 9조6000억원)를 투자해 미국 전장전문기업 하만(Harman)을 인수했다.

하지만 국내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는 고려 대상조차 되지 않고 있다. 제2벤처 붐 완성을 위해선 벤처기업 인수합병(M&A)을 활성화해 대기업 자금이 벤처 생태계에 투입되고, 투자회수와 재투자, 연쇄창업으로 이어지는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한국벤처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벤처투자 시장에 흘러들어 온 자금은 총 4조5295억원(2조3739억원 투자, 2조556억원 조합 결성)에 달하는데, 같은 기간 M&A를 통한 투자 회수는 64억원에 그쳤다. 장외매각 및 상환을 통한 투자 회수(2555억원), IPO(2030억원), 프로젝트(1197억원) 등과 비교하면 M&A를 통한 투자 회수는 존재감을 찾기 어렵다.

M&A는 매년 외면받아 왔다. 2014년 164억원 규모였던 M&A 투자 회수금액이 지난해 408억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지난 5년간 투자 회수금도 늘어나면서 전체 회수액의 3%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M&A를 통한 회수 시장이 활성화돼 있다. 올해 2분기까지 유럽에서 M&A를 통해 회수한 투자 건수는 150건으로, IPO를 통한 투자 회수(14건)를 압도했다. 2016~2018년에도 M&A를 통한 투자 회수가 8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등 M&A는 핵심 투자 회수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중국도 M&A를 통한 투자 회수가 활발하다. 2016년 10%대 후반을 유지하던 M&A 투자 회수 비중은 올해 6월 40% 수준까지 늘어났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M&A를 통한 투자 회수 비중이 낮은 이유는 대기업들이 경기에 대한 확신이 없고, 투자하기 좋은 벤처기업을 찾지 못해 현금을 쌓아두기만 한 영향이 크다”며 “해외에서는 스타트업 간 합종연횡도 많은데, 한국은 이마저도 잘 이뤄지지 않는다. 경제구조상 대기업이 나서야 중견기업도 따라서 벤처기업 M&A를 추진하고, 유니콘기업이 스타트업을 인수하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강남 코엑스에서 개최된 스타트업 페어 '2019 넥스트라이즈'에서 박영선 중기부 장관이 스타트업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사진=연합)]


M&A는 IPO 등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기 어려운 소재‧부품 제조 분야 성장에 특히 유용하다. 제조기업은 기술개발을 통해 기업가치를 인정받고, 상장까지 추진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특성이 있다. 대기업이 핵심기술 보유 기업을 인수하면 해당 벤처는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고, 투자자는 투자금 회수, 대기업은 핵심기술 확보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단기간에 강소 소재‧부품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M&A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다만, 기업 매도매수 시 기업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M&A에 대한 부정적인 국내 인식, 계약 체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 등이 M&A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손필수 한국벤처캐피탈협회 M&A지원센터 팀장은 “매수‧매도기업이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참가자의 변심으로 계약이 무산되는 경우가 많고,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기준도 마련돼 있지 않아 M&A를 통한 투자회수를 어렵게 한다. 대기업이 벤처기업을 인수하면 ‘문어발식 확장이다’, ‘기술 탈취다’라는 부정적 인식도 있다”며 “소재부품 스타트업이 창업해서 고유 기술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M&A다. 기업평가를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 기술성과 사업성을 충분히 갖춘 스타트업이 많이 생겨나면 대기업도 해외로 시선을 돌리지 않고, 창업 활성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