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장관은 이날 환경부 서울상황실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하천수 등 바이러스 검사, 임진강 변 멧돼지 폐사체 조사 등을 통해 원인을 조속히 규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언론에서는 북한의 바이러스가 멧돼지나 하천을 통해 유입됐을 가능성을 제기한다"며 "발생지역 주변 멧돼지 폐사체 발생 여부를 철저하게 조사해 멧돼지로부터 감염이 생길 경우 초기에 완벽히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9/27/20190927111520281026.jpg)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27일 환경부 서울상황실에서 열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긴급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다만 활동성이 강한 야생 멧돼지의 특성상 ASF가 전파될 경우 바이러스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
조 장관은 "양돈농장에 남은 음식물을 주는 것이 전면 금지돼 남은 음식물이 부적절하게 처리되지 않도록 꼼꼼히 관리해야 한다"며 "양돈 농가가 사용했던 하루 1220t의 남은 음식물을 대체 처리하는 과정에서 국민 불편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조해 가축 매몰지와 분뇨 침출수로 인한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해야 한다"며 "분뇨를 통해 바이러스가 확산하지 않도록 가축 분뇨 공공 처리시설 방역에도 힘써 달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