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4일 대구에서 열리는 '제32차 의료정보 국제표준화회의'에서 의료정보와 유전체 정보에 대한 국제표준화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이날 회의에는 미국, 일본, 중국 등 20개국 대표단이 참가한다.
의료정보 분야에선 전자 의무기록시스템을 포함한 병원정보시스템의 의료 관련 정보 등을 일관성 있고 상호운용적으로 교환할 국제표준안을 논의한다. 유전체 정보 분야에선 의료와 임상 연구 적용을 위한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와 관련 메타데이터에 관한 국제표준화 방안을 검토한다.
그간 우리나라는 현재 의료정보 분야에서 진행 중인 전체 국제표준안의 20%를 차지하는 11종을 제안했다. 이번 회의에선 '헬스 클라우드 메타데이터 프레임워크' 1종을 추가 제안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의료정보 기술위원회 산하에 신설된 유전체 정보 분과위원회도 처음 개최될 예정이다. '유전체정보 분과위원회'는 유전체정보의 의료와 임상연구 적용을 위한 정보, 지식 표현형태와 관련 메타데이터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담당한다. 지난 6월부터 우리 정부가 간사국을 맡고 있다.
앞서 우리 정부는 유전체정보 분야에서도 현재 개발 중인 국제표준 10종 중 4종을 제안했다. 이번 회의에선 '임상 유전체 검사 활용을 위한 종양변이부담 데이터 표현' 등 신규 표준 2종을 추가로 제안할 예정이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 원장은 "우리 정부가 제안한 표준은 스마트헬스케어 시장에서 국내 산업의 해외 진출을 가속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1/04/20191104103904976080.jpg)
[사진=아주경제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