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하리항 조감도.[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소규모 비법정 어항으로 남아있는 하리항을 도심형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재탄생시키기 위해 '지방어항'으로 지정·고시한다고 17일 밝혔다.
하리항은 해상낚시터를 갖추고 맨손물고기 잡기 및 어묵만들기 등 다양한 어촌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매년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으나 어선 계류시설 부족, 항내 방파제 등 시설이 노후해 안전사고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부산시는 2015년 7월부터 지방어항 지정 계획 수립 및 용역비 2억원을 투입해 기본계획 수립 용역, 전략환경영향평가, 사전재해영향성 검토, 중앙부처 협의 등을 거쳐 하리항을 지방어항으로 지정했다. 지방어항으로 지정되면 시비 등을 투입해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하리항은 남항과 동삼혁신지구, 북항을 연결하는 최고의 요충지다. 해양관광, 도시민의 휴식제공 제공은 물론, 다양한 해양레저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개발될 것이란 게 부산시의 설명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향후 중앙부처 협의, 개발계획 수립, 관련 예산확보 등을 거쳐 외곽시설, 선착장, 물양장 등 시설 확충과 함께 보강 이후에는 안전한 어업활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해양레저 기능을 갖춘 다기능 복합어항으로 바뀌게 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어항이 어업인과 시민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장소가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