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조직배양’으로 낙엽송 묘목 대량 생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의정부)최종복 기자
입력 2019-11-20 09:5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유전적으로 동일한 우수 개체를 연중 대량 생산 가능하다는 장점 있어 내년 3만본 생산 목표 2021년부터 도내 도유림 등에 식재 계획

[사진=경기북부청제공]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가 조직배양 기술을 활용, 우리나라 주요 조림 수종 중 하나인 ‘낙엽송’ 묘목의 대량생산에 나선다.

‘낙엽송’은 생장이 빠르고 재질이 우수해 현재 국내에서 용재수(목재 생산을 위한 수목)로 각광받고 있으나, 종자결실의 풍·흉 주기가 불규칙해 조림용 묘목 수급과 안정적인 공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는 지난 16년 2월부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연구과와 협력을 추진, 기술이전과 정기적인 컨설팅 등을 지원받아 안정적인 조직배양 기술력을 보유하게 됐다.

이 기술은 종자로 묘목을 생산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방법과 달리, 인공씨앗인 체세포배를 만들어 식물체를 대량복제하는 방식으로, 유전적으로 동일한 우수 개체를 연중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낙엽송 미성숙배(종자를 구성하고 있는 ‘배’가 아직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얻어진 체세포배를 6∼7개월 동안 실험실 배양(기내배양)과 야외적응(순화) 기간을 거쳐 낙엽송 조직배양묘(클론묘목)를 생산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는 내년 3만본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생산된 묘목은 양묘장에서 생육 후 오는 2021년부터 경기도내 도유림 등에 식재해 나갈 계획이다.

민순기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장은 “현재 종자생산량 저하로 묘목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낙엽송의 조직배양묘 생산을 통해 국내 낙엽송 수요에 맞추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