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6일 송병기 울산 부시장이 제보한 내용으로 만들어진 김기현 전 울산시장의 비리 의혹에 대한 첩보 문서를 공개하고, “법률적 판단 내용도 없고 경찰이나 검찰에게 어떻게 뭘 하라고 한 내용도 하나도 없다”며 청와대 하명 수사를 의심할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홍 수석대변인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지방자치단체장(울산광역시장 김기현) 비리 의혹'이란 제목의 4쪽 분량 첩보 문건을 공개했다.
이어 홍 수석대변인은 “그냥 (김기현 전 울산시장과 관련해) '이런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의혹이 지역에서 떠돌고 있다', '의혹이 상당하다' 정도의 제보와 관련된 내용"이라고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이 사건이 본격적으로 불거진 한 달 정도 전후한 시점에 개인적 차원에서 입수한 것"이라며 "문서에 관계된 분에게 (문건 신빙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청와대 A 행정관이 송병기 울산시 경제부시장으로부터 제보를 받아 작성한 문건으로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 박형철 반부패비서관을 거쳐 경찰로 이첩됐다. 원본은 현재 검찰이 압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 수석대변인의 설명에 따르면 해당 문건은 김 전 시장에 대해 제기된 비리 의혹을 3개 파트로 나뉘어 정리했다.
김 전 시장과 측근들이 아파트 건설 현장 관련 토착 업체와 유착 의혹이 있다는 것이 1쪽 분량이다.
김 전 시장의 박모 비서실장에 대한 인사 비리 의혹이 2쪽 분량으로, 비서실장이 돈을 받고 울산시 산하단체 등의 인사를 주도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마지막 부분은 소프트웨어 구매와 관련, 박 비서실장의 처남이 운영하는 업체 제품 구매를 강요했다는 의혹이었다. 해당 업체의 연간 매출이 2016년 말 기준으로 5∼6배 성장했다는 소문이 지역에 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아울러 송 부시장이 최초 제보자라는 점을 근거로 선거 기획 혹은 청부 제보가 아니냐는 야권의 주장에 대해 홍 수석대변인은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며 "통상적으로 지역사회에서 비리와 관련돼서 그 내용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지역 공무원들"이라고 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해당 첩보의 제보자가 송 부시장이란 사실에 대해 "보도가 나오기 전까진 몰랐다"고 했다.
이어 그는 "송 부시장이 당시 공무원으로 울산시청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면서 여러 가지 비리에 대해서 확인했고 현장에서 목격했을 것"이라며 "본인도 억울한 게 있었을 것이고, 그런 문제에서 자기가 꼼꼼하게 김기현 시장과 관련된 비리를 수집했고 또 자료를 모았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황운하 전 울산지방경찰청장(현 대전지방경찰청장)을 음해하는 내용이 담긴 '청와대 메모 자료'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지역 건설업자 김모씨가 검찰과 경찰 등에 투서한 것으로 알려진 이 내용은 지역 브로커와 매우 가까운 황 청장이 김 전 시장에 대해 무리한 수사를 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홍 수석대변인은 "오래전부터 지역 사회에서는 문제가 되었던 사건"이라며 "마치 청와대에서 문건이 내려간 이후에 수사가 시작된 것처럼 하는 것은 아주 잘못"이라고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밑에서 행정관으로 일했던 고(故) A 검찰 수사관이 고래고기를 돌려준 사건과 관련해 울산에 내려가 대면 청취한 보고서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5쪽 분량으로 3개 파트로 나뉜 문건이다.
일자별 개요, 진행 경과, 경찰·검찰·해경을 직접 면담하고 인터뷰한 내용이 포함됐다.
홍 수석대변인은 "사람 이름은 특정하지 않았지만 대체로 이런 내용을 얘기할 수 있는 사람이 추정된다"며 "김 전 시장과 관련된 내용은 하나도 없고, 고래고기 환부 사건을 둘러싼 검경갈등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밝혔다.
그는 "검찰이 당시 이분이 내려가서 누굴 만났는지 현장 조사만 하면 무슨 얘기를 했는지 알 수 있는데 모르쇠로 일관하면서 이분한테 어떤 압박을 한 것 아니냐는 것"이라며 "검경수사권과 관련된 갈등이 현장에서 너무 심해서 충분히 청와대 민정이 관심 있는 사안이었다"고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지방자치단체장(울산광역시장 김기현) 비리 의혹'이란 제목의 4쪽 분량 첩보 문건을 공개했다.
이어 홍 수석대변인은 “그냥 (김기현 전 울산시장과 관련해) '이런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의혹이 지역에서 떠돌고 있다', '의혹이 상당하다' 정도의 제보와 관련된 내용"이라고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이 사건이 본격적으로 불거진 한 달 정도 전후한 시점에 개인적 차원에서 입수한 것"이라며 "문서에 관계된 분에게 (문건 신빙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6/20191206171402536333.jpg)
국회 행정안전위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간사가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거사 법안과 어린이교통안전 법안 처리와 관련한 자유한국당 행안위원들의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홍 수석대변인의 설명에 따르면 해당 문건은 김 전 시장에 대해 제기된 비리 의혹을 3개 파트로 나뉘어 정리했다.
김 전 시장과 측근들이 아파트 건설 현장 관련 토착 업체와 유착 의혹이 있다는 것이 1쪽 분량이다.
김 전 시장의 박모 비서실장에 대한 인사 비리 의혹이 2쪽 분량으로, 비서실장이 돈을 받고 울산시 산하단체 등의 인사를 주도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마지막 부분은 소프트웨어 구매와 관련, 박 비서실장의 처남이 운영하는 업체 제품 구매를 강요했다는 의혹이었다. 해당 업체의 연간 매출이 2016년 말 기준으로 5∼6배 성장했다는 소문이 지역에 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아울러 송 부시장이 최초 제보자라는 점을 근거로 선거 기획 혹은 청부 제보가 아니냐는 야권의 주장에 대해 홍 수석대변인은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며 "통상적으로 지역사회에서 비리와 관련돼서 그 내용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지역 공무원들"이라고 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해당 첩보의 제보자가 송 부시장이란 사실에 대해 "보도가 나오기 전까진 몰랐다"고 했다.
이어 그는 "송 부시장이 당시 공무원으로 울산시청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면서 여러 가지 비리에 대해서 확인했고 현장에서 목격했을 것"이라며 "본인도 억울한 게 있었을 것이고, 그런 문제에서 자기가 꼼꼼하게 김기현 시장과 관련된 비리를 수집했고 또 자료를 모았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황운하 전 울산지방경찰청장(현 대전지방경찰청장)을 음해하는 내용이 담긴 '청와대 메모 자료'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지역 건설업자 김모씨가 검찰과 경찰 등에 투서한 것으로 알려진 이 내용은 지역 브로커와 매우 가까운 황 청장이 김 전 시장에 대해 무리한 수사를 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홍 수석대변인은 "오래전부터 지역 사회에서는 문제가 되었던 사건"이라며 "마치 청와대에서 문건이 내려간 이후에 수사가 시작된 것처럼 하는 것은 아주 잘못"이라고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밑에서 행정관으로 일했던 고(故) A 검찰 수사관이 고래고기를 돌려준 사건과 관련해 울산에 내려가 대면 청취한 보고서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5쪽 분량으로 3개 파트로 나뉜 문건이다.
일자별 개요, 진행 경과, 경찰·검찰·해경을 직접 면담하고 인터뷰한 내용이 포함됐다.
홍 수석대변인은 "사람 이름은 특정하지 않았지만 대체로 이런 내용을 얘기할 수 있는 사람이 추정된다"며 "김 전 시장과 관련된 내용은 하나도 없고, 고래고기 환부 사건을 둘러싼 검경갈등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밝혔다.
그는 "검찰이 당시 이분이 내려가서 누굴 만났는지 현장 조사만 하면 무슨 얘기를 했는지 알 수 있는데 모르쇠로 일관하면서 이분한테 어떤 압박을 한 것 아니냐는 것"이라며 "검경수사권과 관련된 갈등이 현장에서 너무 심해서 충분히 청와대 민정이 관심 있는 사안이었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6/20191206171435977888.jpg)
김기현 전 울산시장이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자유한국당 회의실에서 열린 울산시장 부정선거 등 친문게이트 진상조사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