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서울대와 손잡고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육성에 나선다. LG전자는 지난 16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LG전자-서울대 빅데이터 교육 협약(MOU)'을 맺었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최성호 LG전자 DXT(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y) 센터장, 하순회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학부장 등이 참석했다.
교육 대상자는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LG전자 연구원 중 내부심사를 거쳐 선발한다. 선발된 인원들은 다음달부터 7주간 서울대에서 고급 통계, 머신러닝, 데이터 모델링 등 빅데이터 심화과정에 참가한다. 이후 현업으로 복귀해 두달간 개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서울대 교수진으로부터 코칭을 받게 된다. 프로젝트 결과를 토대로 최종 선발된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는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LG전자는 빅데이터 기술을 업무에 활용해 왔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개발한 스마트 가전 사전관리서비스인 '프로액티브 서비스'는 고객들이 제품을 사용하는 방식과 빈도, 제품의 오작동 유형 등 제품에서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분석해 개발했다.
또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공급망관리(SCM·Supply Chain Management) 분야에 활용해, 판매 수요 예측의 정확도를 기존 50%에서 70% 이상으로 올려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박일평 LG전자 CTO 사장은 "빅데이터 활용 능력은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 가운데 하나"라며 "빅데이터 전문가들이 우수한 역량을 발휘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교육 대상자는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LG전자 연구원 중 내부심사를 거쳐 선발한다. 선발된 인원들은 다음달부터 7주간 서울대에서 고급 통계, 머신러닝, 데이터 모델링 등 빅데이터 심화과정에 참가한다. 이후 현업으로 복귀해 두달간 개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서울대 교수진으로부터 코칭을 받게 된다. 프로젝트 결과를 토대로 최종 선발된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는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LG전자는 빅데이터 기술을 업무에 활용해 왔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개발한 스마트 가전 사전관리서비스인 '프로액티브 서비스'는 고객들이 제품을 사용하는 방식과 빈도, 제품의 오작동 유형 등 제품에서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분석해 개발했다.
또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공급망관리(SCM·Supply Chain Management) 분야에 활용해, 판매 수요 예측의 정확도를 기존 50%에서 70% 이상으로 올려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17/20191217084629844360.jpg)
최성호 LG전자 DXT 센터장(왼쪽 일곱번째)과 하순회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학부장(왼쪽 여덟번째) 등 관계자들이 지난 16일 서울대에서 'LG전자-서울대 빅데이터 교육 협약(MOU)'을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찍고있다. [사진=LG전자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