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발표가 임박한 롯데그룹 임원인사가 ‘고강도 쇄신 인사’로 점쳐지는 가운데 △유통 △식품 △화학 △호텔·서비스 등 4개 BU장의 위상이 예년만 못해졌다는 우려가 커지는 탓이다.
17일 재계와 롯데에 따르면, 경영비리와 국정농단 혐의 등 ‘사법 리스크’를 지난 10월 대법원 판결로 완전히 끊어낸 신동빈 회장이 올 연말 임원 인사를 ‘100% 신(辛)의 인사’로 만들 것이 유력시 된다.
롯데그룹 임원 600여명 중 25%에 달하는 140여명이 물갈이 될 전망이다. 신 회장이 임원 4명 중 1명을 교체하는 ‘대규모 인적교체 카드’를 꺼낼 것이란 전망은 이미 롯데 내부에선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17/20191217152315444293.jpg)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사진=롯데 제공]
이번 인사의 물갈이 수위는 신 회장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해온 부회장단과 각 BU장이 얼마나 교체되느냐에 달렸다. 그룹 2인자인 황각규 부회장의 입지는 탄탄한 반면, 이원준 부회장(유통BU장), 송용덕 부회장(호텔서비스BU장)의 거취는 불투명하다. 이·송 부회장은 모두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롯데는 신격호 명예회장 때부터 철저한 ‘실적 주의’로 유명했다. 이에 올해 유통BU의 실적이 눈에 띄게 나쁘고, 화학부문도 실적이 좋지 않아 교체설이 힘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신 회장은 일부 부회장과 면담을 통해 용퇴 의사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진다.
부회장과 BU장 교체 못잖게 조직개편도 특히 관심사다. 신 회장이 ‘롯데 원 리더(One Leader)’ 역할을 공고히 하려면 4개 BU장 체제가 ‘무용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앞서 2017년 1월 롯데는 순환출자 해소와 지주사 설립을 앞두고 글로벌 컨설팅회사 맥킨지의 제안에 따라, 90여개의 계열사를 사업 연관성이 높은 것끼리 묶는 4개 BU체제를 전격 도입했다. 여기에 든 컨설팅 비용만 20억원에 달했다는 후문이다.
이에 따라 기존 ‘회장-정책본부-계열사’로 이어지던 그룹 의사결정 구조는 ‘회장-4개 BU-계열사’로 변경됐다. 기존 정책본부는 그룹 사업을 주도할 ‘경영혁신실’과 그룹 및 계열사의 준법경영체계 정착을 위한 ‘컴플라이언스위원회’ 등 2개의 큰 축으로 변경됐다. 초대 경영혁신실장은 당시 황각규 사장이 맡아 명실상부 그룹 2인자로 올라섰다.
롯데는 당시 4개 BU 체제 도입에 대해 “총괄사장 개념의 BU장이 맡아 부문별 경영을 총괄하고, 각 계열사 대표들은 생산·마케팅·영업 등 현장 업무에 주력한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인사를 통해 4개 BU장은 부회장으로 위상이 높아졌다.
하지만 롯데지주가 2017년 10월 공식 출범하고 황각규 부회장이 대표이사 부회장으로 선임되면서 4개 BU 무용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지주가 그룹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면 되는데, 4개 BU가 ‘옥상옥’이란 지적이 제기된 것.
게다가 사법 리스크를 끊어낸 신 회장이 원리더 입지를 공고히 해야 하는 현 상황에서, 굳이 4개 BU를 거쳐 각 계열사 상황을 보고 받는 시스템은 비효율적이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신 회장은 이번 인사를 통해 4개 BU장의 역할을 축소, 롯데지주가 그룹의 구심적 역할을 하면서 각 계열사가 자율경영을 하는 방식으로 조직 쇄신을 할 것으로 점쳐진다.
이는 인사 일정에서도 반영된 분위기다. 최근 2년간 롯데는 매년 인사를 4일에 걸쳐 발표했다. 4개 BU별로 각각 발표를 한 것. 그런데 올해 임원 인사는 19일 하루에 이뤄질 예정이다. 각 계열사별 이사회를 한날 동시에 개최하고 인사 또한 일사천리로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관계자는 “4개 BU 무용론은 2017년 도입 초기부터 제기된 것”이라면서 “BU 체제는 신 회장이 사법 리스크로 흔들리던 시기에는 권력을 분산하고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에 효과적이었으나, 이제 신 회장이 원리더 면모를 갖춰야 하는 상황에선 역할을 재정립 할 필요가 있어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신 회장이 이번 고강도 쇄신 인사를 통해 자신의 비전과 파워를 얼마나 드러낼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