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12.16 대책 시장 반응] 15억 초과대출 금지 전 계약자들 "호재 막차일까…지옥행 첫차일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재환 기자
입력 2019-12-17 16: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집값하락 조짐 있을 경우 금융비용 부담에 매물 출하 가능성↑

  • 20억원 이상 초고가주택은 희소성 더 높아져 상승세 지속될 듯

정부가 15억원 이상 주택에 대한 대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강남권 집주인들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호재 막차인지 지옥행 첫차인지 판단하기 어려워서다.

시장에서는 앞으로 시세상승 여력이 떨어지고 막대한 금융비용 지출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과 함께 희소성이 더 높아진 초고가 집값은 더 오른다는 확신이 교차했다. 

 

17일 방문한 서울시 서초구 신반포역 일대 공인중개사.[사진 = 김재환 기자]


17일 서울시 강남구와 서초구 일대에 있는 공인중개사사무소 곳곳에는 집주인들의 문의 전화를 분주하게 받는 풍경이 펼쳐졌다. 어떤 곳에는 5명가량의 집주인 무리가 단체 상담을 받기도 했다.

이들의 주된 문의는 향후 집값 향방에 쏠렸다. 한 공인중개사사무소에 방문한 A씨는 "지난달 마래푸 34평(110㎡)를 15억원 후반에 샀는데, 앞으로 집값이 안 오르면 이자만 나가는 거 아니냐"며 매도 의사를 보이기도 했다.

이번 12.16 부동산 대책으로 매도자가 나오면서 집값이 실제로 하락할 조짐을 보인다면 빠르게 처분해야 손실을 막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공인중개사들은 15억~20억대 주택의 경우 시세가 조정되면서 매물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이 이상의 초고가주택의 경우 오히려 집값이 뛸 것으로 내다봤다.

강남 부동산에 막대한 현금이 있어야만 살 수 있는 희소성이 추가된 데다, 어차피 버티면 오른다는 믿음이 팽배하기 때문이다.

서초구 신반포역 래미안퍼스티지 인근 김시연 래미안114공인중개사 대표는 "이 일대 거주자들은 세금 오르는 게 달갑지 않겠지만 다 견딜 수 있는 여력이 있는 사람들"이라며 "대출이 버거운 일부 사람도 전세로 돌리면 당분간 버틸 수 있는 여력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반면, 익명을 요구한 B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는 "역대 정부 정책 중에서 가장 강력하다는 평이 나온다"며 "다만 매도 의사가 있는 집주인들도 한 달 정도 지켜본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사실 더 (집값이) 뛰면 대출을 껴도 살 수 있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상투 시점으로 보는 사람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C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는 "강남 일대는 100% 오른다"며 "여기 사람들이 팔고 어디를 가겠냐. 갈 곳도 없을뿐더러, 현금 부자들만 살 수 있는 희소성이 생겼기 때문에 돈 더 주고 들어오고 싶은 부자들은 많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각에서 실거주 목적으로 초고가주택을 물색하고 있던 실수요자들은 미소지었다. 만약에 집값이 떨어지지 않더라도 오를 가능성이 적은 데다 매수 경쟁률은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압구정 인근에 매수할 아파트를 찾고 있는 D씨는 "현재 가진 주택을 모두 처분하고 압구정으로 넘어오려 했었다"며 "하지만 집값을 더 키우면서 때를 기다려도 될 듯해서 마음이 차분해졌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6일 정부는 고가 및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를 높이고 KB국민은행 시세 기준 15억원 이상의 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을 금지하는 내용의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 대상으로 앞서 지정된 서울 강남 등 8개구 27개동 외에 강서·노원·동대문·성북·은평구 등 서울 5개구 37개동이 추가됐다. 수도권에서는 과천·광명·하남시 등지 총 13개동도 대상에 포함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