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차카반도에 8.7 초강진…러시아 해안 최대 4m 쓰나미, 日도 긴급 경보

  • 러, 최대 4미터 쓰나미 발생으로 주민 대피령…건물 일부 피해

  • 日, 쓰나미 경보 발령…총리관저 위기관리센터에 정보연락실 설치

일본 태평양 연안부에 쓰나미 주의보노란색 부분 사진일본 기상청 홈페이지
일본 태평양 연안부에 쓰나미 주의보(노란색 부분) [사진=일본 기상청 홈페이지]

러시아 극동 캄차카반도 동쪽 해상에서 30일(현지시간) 규모 8.7의 초강진이 발생해 최대 4미터에 달하는 쓰나미가 발생했다. 이에 러시아와 일본 등지에 대형 쓰나미 우려가 확산되며 긴급 대피령이 내려졌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에 따르면 첫 지진은 이날 오전 11시24분께 발생했으며, 규모는 8.0으로 관측됐다. 진앙은 캄차카 주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 남동쪽으로 136㎞ 떨어진 해역으로, 진원의 깊이는 약 19㎞였다.
 
이어 오후 12시 16분께에도 캄차카반도 동쪽 근해에서 더욱 강력한 규모 8.7의 지진이 다시 발생했다. 두 번째 지진의 진앙은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 110㎞ 떨어진 해역이며, 진원 깊이는 20㎞로 측정됐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솔로도프 캄차카 주지사는 텔레그램에 올린 영상에서 "오늘 지진은 심각했고, 수십 년 만에 가장 강력했다"며 "예비 정보에 따르면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보이나, 유치원 건물 하나가 파손됐다"고 전했다. 러시아 사할린 주지사도 세베로쿠릴스크 주민들이 대피 중이라고 발표했다. 아울러 러시아 당국은 이번 지진으로 인해 최대 4미터 쓰나미가 발생해 주민 대피령을 내리고 건물 일부가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미국 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PTWC)는 첫 지진 이후 러시아와 일본에 3시간 이내에 위험한 쓰나미가 닥칠 수 있다고 경보를 발령했다. 한반도 해안에는 0.3m 미만의 소규모 쓰나미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 기상청은 오전 9시40분을 기해 홋카이도부터 와카야마현에 이르는 광범위한 태평양 연안에 대해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기상청은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m에 달하며, 쓰나미가 반복해서 밀려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해안가에 머무르지 말고, 고층 건물 상층이나 내륙 고지대로 신속히 대피하라고 당부했다.
 
NHK는 일본 정부가 일부 지역에 긴급 대피 명령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총리관저 위기관리센터에 정보연락실을 설치하고 상황 파악에 나섰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10시10분부터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대응 방향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캄차카 반도는 지각 활동이 활발해 '불의 고리'(Ring of Fire)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있어 지진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