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11월 산업생산 0.4%↑…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증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원승일 기자
입력 2019-12-30 09: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서비스업 생산 1.4% 증가 영향

  • 코세페·신차 출시 덕에 소매 판매 3% 증가

11월 들어 생산·소비·투자 등이 전월의 부진을 벗고 모두 증가세로 돌아섰다. 다만 건설 부문 부진이 지속하는 등 전반적으로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관측이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 산업생산(계절 조정, 농림어업 제외)은 전월 대비 0.4% 증가했다. 전 산업생산은 서비스업 생산이 1.4% 늘어난 것이 큰 영향을 줬다. 도소매(3.0%), 금융·보험(2.1%)이 각각 증가했다. 반면 광공업생산은 자동차(-7.5%), 금속가공(-6.5%) 등을 중심으로 0.5% 감소했다.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액은 전월보다 3.0% 증가했다. 날씨 영향으로 겨울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5.6% 증가했고, 신차 출시와 프로모션 속에 내구재 판매도 3.4% 늘었다.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대형 할인행사도 소매판매액 증가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한다.

설비 투자도 전월 대비 1.1% 증가했다. 기계류 투자는 0.3% 소폭 감소했지만, 항공기 등 운송장비 투자가 4.6% 늘어나 증가세로 돌아섰다.

다만 건설업체가 실제로 시공한 실적을 금액으로 보여주는 건설기성은 전월보다 1.8%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공장과 창고, 사무실 등 비주거용 건축공사 실적이 감소하면서 건축 부문이 2.9% 줄었다. 토목은 1.0%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이 지수는 9월 보합 후 10월과 11월에 2개월 연속 하락 중이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전 산업생산과 소매 판매, 설비 투자가 증가했지만, 건설기성이 마이너스를 보이는 등 전반적인 회복 흐름이 미약하다"며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3개월째 상승해 향후 경제 상황의 긍정적인 신호를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2019년 11월 산업활동동향.[자료=통계청]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