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재개발 사업지 2차 선정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1차 대상지로 선정된 동작구 '흑석2구역'이 돌연 참여 재고를 선언하면서 사업이 시작부터 삐걱거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었지만, 2차 후보지들 사이에선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를 원한다"는 목소리가 우세하다. 공공재개발의 가장 큰 장점인 빠른 사업속도 등에 매력을 느낀다는 설명이다.
28일 공공재개발 2차 후보지들에 따르면 이들은 사업성이 생각보다 떨어진다는 일각의 지적에도 불구, 대체로 대상지 선정을 계속해서 희망하고 있다. 사업성이 주민들 내부 기준보다 다소 떨어지더라도 더 이상은 재개발을 미루기 어려운 만큼 빠른 속도를 내세운 공공재개발이 절실하다는 전언이다. 흑석2구역을 제외한 1차 대상지들은 정확한 사업성 분석이 나오기 전까진 판단을 유보하겠다고 전해왔다.
공공재개발은 민간재개발 대비 사업속도가 빠른 편이다. 조합설립을 위한 주민동의율(67%)이 민간재개발(75%)보다 낮고, 조합설립부터 사업시행인가까지 소요기간도 18개월 정도로 민간재개발(40개월)보다 빠르다. 총 사업기간은 5년으로 민간재개발(10년)의 절반에 그친다.
성북구 성북1구역 공공재개발 자원봉사단(성공자) 대표는 "한 달 만에 주민동의율 54%를 달성한 만큼 절실하다"며 "설령 공공재개발 조건이 기대보다 좋지 않아 분담금이 늘어나더라도 참여를 원한다. 공공재개발은 사업속도가 민간보다 빠르다는 게 장점이다. 사업성 역시 협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노원구 상계3구역 공공재개발 추진위원회 대표도 "공공재개발 사업지로 하루빨리 지정되길 원한다. 뉴타운에서 한 번 해제돼 시간을 많이 지체했다"며 "워낙 낙후돼 개발시기를 최대한 앞당기려면 공공재개발만이 해답"이라고 했다.
이어 "사업성이 우리 기준에 다소 미치지 못한다 해도 생각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흑석2구역과 이곳은 여건이 아예 다르다"고 덧붙였다.
기존 정비구역인 흑석2구역의 경우 민간재개발도 승산이 있지만, 해제지역인 상계3구역은 그렇지 않다는 판단이다. 1차 대상지들은 이미 정비구역이 지정돼 있어 2차 후보지들보다는 시간적 여유가 있을 수밖에 없다. 2차 후보지는 정비구역 지정이 해제된 바 있는 구역을 포함한 신규 구역이다. 공공재개발 공모에 참여한 70곳 가운데 1차 대상지로 선정된 8곳 등 기존 정비구역 15곳을 뺀 55곳이 경합한다.
앞서 공공재개발 사업설명회를 가진 흑석2구역은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용적률과 분양가 수준이 당초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며 이대로라면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용산구 한남1구역 공공재개발 추진위원회 대표는 "그런 얘기(사업 참여 재고)를 하시는 분들이 일부 있다"면서도 "기존 계획을 바꿀 생각은 없다. 공공과 원만히 협의하면 될 일"이라고 단언했다.
민간재개발로는 승산이 없는 입지라고 판단할 때, 공공재개발 참여의지가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성북1구역 관계자는 "우리 사업지는 구릉지여서 민간재개발을 추진하기엔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이라며 "워낙 오래된 지역이라 신축도 많이 들어섰다. 현금청산까지 생각하면 어떻게든 용적률 등 사업성을 끌어올려 분담금을 낮춰야 한다"고 했다.
다만 성북구 장위11구역 대표는 "후보지로 선정되면 흑석2구역처럼 사업성을 보고 고민해볼 것"이라며 "분양가 상한제 제외라고 했으니, 적어도 장위4·10구역 이상의 사업성은 나와야 하지 않겠나.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적다면 사업 취지가 흐려진다"고 했다.
흑석2구역과 함께 대상지 명단에 이름을 올린 다른 구역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대다수 사업장은 아직 분담금 등 정확한 사업성을 진단받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강북구 강북5구역 공공재개발 추진위원회 대표는 "공공에서 확실한 당근을 제시하지 않고 공공성만 강조한다면 우리도 주민동의를 얻기 힘들다"면서도 "흑석2구역은 결정이 다소 빨랐다. 한 번의 설명회로 결정할 일은 아닌 듯싶다. 곧 있을 설명회 결과를 여러 차례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8일 공공재개발 2차 후보지들에 따르면 이들은 사업성이 생각보다 떨어진다는 일각의 지적에도 불구, 대체로 대상지 선정을 계속해서 희망하고 있다. 사업성이 주민들 내부 기준보다 다소 떨어지더라도 더 이상은 재개발을 미루기 어려운 만큼 빠른 속도를 내세운 공공재개발이 절실하다는 전언이다. 흑석2구역을 제외한 1차 대상지들은 정확한 사업성 분석이 나오기 전까진 판단을 유보하겠다고 전해왔다.
공공재개발은 민간재개발 대비 사업속도가 빠른 편이다. 조합설립을 위한 주민동의율(67%)이 민간재개발(75%)보다 낮고, 조합설립부터 사업시행인가까지 소요기간도 18개월 정도로 민간재개발(40개월)보다 빠르다. 총 사업기간은 5년으로 민간재개발(10년)의 절반에 그친다.
성북구 성북1구역 공공재개발 자원봉사단(성공자) 대표는 "한 달 만에 주민동의율 54%를 달성한 만큼 절실하다"며 "설령 공공재개발 조건이 기대보다 좋지 않아 분담금이 늘어나더라도 참여를 원한다. 공공재개발은 사업속도가 민간보다 빠르다는 게 장점이다. 사업성 역시 협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노원구 상계3구역 공공재개발 추진위원회 대표도 "공공재개발 사업지로 하루빨리 지정되길 원한다. 뉴타운에서 한 번 해제돼 시간을 많이 지체했다"며 "워낙 낙후돼 개발시기를 최대한 앞당기려면 공공재개발만이 해답"이라고 했다.
이어 "사업성이 우리 기준에 다소 미치지 못한다 해도 생각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흑석2구역과 이곳은 여건이 아예 다르다"고 덧붙였다.
기존 정비구역인 흑석2구역의 경우 민간재개발도 승산이 있지만, 해제지역인 상계3구역은 그렇지 않다는 판단이다. 1차 대상지들은 이미 정비구역이 지정돼 있어 2차 후보지들보다는 시간적 여유가 있을 수밖에 없다. 2차 후보지는 정비구역 지정이 해제된 바 있는 구역을 포함한 신규 구역이다. 공공재개발 공모에 참여한 70곳 가운데 1차 대상지로 선정된 8곳 등 기존 정비구역 15곳을 뺀 55곳이 경합한다.
앞서 공공재개발 사업설명회를 가진 흑석2구역은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용적률과 분양가 수준이 당초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며 이대로라면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용산구 한남1구역 공공재개발 추진위원회 대표는 "그런 얘기(사업 참여 재고)를 하시는 분들이 일부 있다"면서도 "기존 계획을 바꿀 생각은 없다. 공공과 원만히 협의하면 될 일"이라고 단언했다.
민간재개발로는 승산이 없는 입지라고 판단할 때, 공공재개발 참여의지가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성북1구역 관계자는 "우리 사업지는 구릉지여서 민간재개발을 추진하기엔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이라며 "워낙 오래된 지역이라 신축도 많이 들어섰다. 현금청산까지 생각하면 어떻게든 용적률 등 사업성을 끌어올려 분담금을 낮춰야 한다"고 했다.
다만 성북구 장위11구역 대표는 "후보지로 선정되면 흑석2구역처럼 사업성을 보고 고민해볼 것"이라며 "분양가 상한제 제외라고 했으니, 적어도 장위4·10구역 이상의 사업성은 나와야 하지 않겠나.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적다면 사업 취지가 흐려진다"고 했다.
흑석2구역과 함께 대상지 명단에 이름을 올린 다른 구역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대다수 사업장은 아직 분담금 등 정확한 사업성을 진단받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강북구 강북5구역 공공재개발 추진위원회 대표는 "공공에서 확실한 당근을 제시하지 않고 공공성만 강조한다면 우리도 주민동의를 얻기 힘들다"면서도 "흑석2구역은 결정이 다소 빨랐다. 한 번의 설명회로 결정할 일은 아닌 듯싶다. 곧 있을 설명회 결과를 여러 차례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