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2/02/20210202085340730127.jpg)
119구급차. [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119구급차로 이송한 심정지 환자 가운데 2927명이 구급대원 심폐소생술로 생명을 건졌다.
2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 119구급대원이 이송한 심정지환자 2만7201명 중 구급대원 전문심폐소생술 실시로 병원 도착 전 기능이 회복된 환자는 2927명이다. 2019년보다 114명 증가한 수치다.
다만 심정지환자가 퇴원해서 정상직인 사회생활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비율인 자발순환회복률은 2019년보다 0.2%포인트 감소한 10.8%인 것으로 확인됐다.
소방청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으로 출동 건수가 증가하면서, 일부 지역 구급차당 출동인원과 특별구급대 운영이 축소한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전문심폐소생술 시행에 지장을 줬다는 분석이다.
최근 5년간 자발순환회복률은 평균 10.4%보다 0.4%포인트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그동안 지속적인 구급차 확충, 구급대원 3인 탑승률 증가·업무범위 확대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소방청은 구급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노력해왔다. 2019년부터 119구급대가 없는 농어촌 지역에 48대 구급차를 배치했으며, 내년까지 47대 구급대가 추가 배치된다.
구급차 3인 탑승제도도 추진해 구급대원이 중증응급환자 전문처치에 집중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실제로 2014년 3인 탑승률은 14.6%이었지만, 지난해 말 86.3%까지 증가했다.
소방청은 서울시를 중심으로 119구급대원 응급처지 업무 확대 시범사업도 확대 중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심정지 환자 소생율을 높이기 위해 119구급대원 현장 대응 능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발순환회복률이 낮았던 지역에 대한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 필요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