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5/03/20210503095800431407.jpg)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3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 후보자는 지난 2015년 팝 칼럼니스트 김태훈 씨와의 함께 출간한 대화록 '공존의 공화국을 위하여'에서 "요즘 왕따라고 해서 아이들끼리 편을 만들어 누군가를 괴롭히는 문화가 있는데, 과거에도 유사한 일들이 많았다"며 이같이 고백했다.
김 후보자는 "1960년대 대구 근처에 미군 부대가 많았다. 당연히 혼혈아도 있었다"며 "중국 화교 출신들도 제법 있었고, 이북에서 피난 온 사람들도 많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자는 "아이들끼리 몰려다니면서 '짱꼴라', '아이노쿠' 그렇게 부르며 놀렸다"며 "구슬치기하면 구슬 뺏고, 괴롭히고, 이런 짓을 몰려다니면서 한 것"이라고 떠올렸다. '짱꼴라'와 '아이노쿠'는 각각 중국인과 혼혈아를 비하하는 표현이다.
그는 "나도 시골에서 올라온 처지라 질서에 편입하기 위해 당연히 센 놈들을 따라다녔다"며 "부끄러운 가해자 중 한 명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그런 못난 풍습이 이어지고, 이게 무슨 문화라고 계승되어 오늘날 왕따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면서 "내가 강자 편에 속하지 않으면 내가 당할지도 모른다는 것 때문에 가해자 편을 드는 것은 민주 시민으로서의 존엄과 주체성을 상실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경북 상주 출신인 김 후보자는 상주남부초에 입학한 후 군인인 아버지를 따라 대구 초등학교로 전학을 갔다. 이후 대구중, 경북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정치학 학사를 얻었다.
김 후보자는 2000년 한나라당(현 국민의힘)에 몸담고 경기도 군포 지역에 출마, 당선됐지만 당 내 강경보수세력과 불화를 겪은 끝에 탈당하고 열린우리당을 창당했다. 이후 지난 20대 국회에서 대구 수성구갑 지역 의원 등을 지내며 통합 이미지를 구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