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서비스(KAEMS)가 군 항공기 정비(MRO)에 본격 참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KAEMS는 17일 육군 항공기 정비단(항정단)과 ‘항공기 창정비 기술교류 및 정보공유를 위한 기술교류협약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항공기 창 정비 기술지원 및 인적 교류 △ 양 기관의 관련 기술 및 정보 상호지원 △ 학술자료, 출판물 등 관련 정보 상호지원 △ 항공기 창 정비 및 운영유지를 위한 기술 및 품질정보 교류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았다.
창 정비는 군의 정비 개념 중 최상위 단계로써, 항공기의 단순 수리를 넘어 부품 하나하나를 분해해 상태를 확인하고 수리, 교체, 재생, 복구하는 정비를 뜻한다.
조연기 KAEMS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육군 헬기의 주요 애로 부품 정보공유와 창 정비를 통한 부품 정비능력이 확장될 것”이라며 “앞으로 회전익 항공기의 기술과 품질 발전에 기여하는 등 회전익 MRO에서 큰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종수 육군 항공기정비단장 대령은 “안정적인 국내 정비원 확보로 항공기 가동률이 향상될 것”이라며 “다양한 환경에서 운용 중인 수리온 계열 정비 경험 등 KAEMS와의 정비기술 노하우 공유에 따라 육군 기체 정비능력 향상과 발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KAEMS는 17일 육군 항공기 정비단(항정단)과 ‘항공기 창정비 기술교류 및 정보공유를 위한 기술교류협약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항공기 창 정비 기술지원 및 인적 교류 △ 양 기관의 관련 기술 및 정보 상호지원 △ 학술자료, 출판물 등 관련 정보 상호지원 △ 항공기 창 정비 및 운영유지를 위한 기술 및 품질정보 교류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았다.
창 정비는 군의 정비 개념 중 최상위 단계로써, 항공기의 단순 수리를 넘어 부품 하나하나를 분해해 상태를 확인하고 수리, 교체, 재생, 복구하는 정비를 뜻한다.
박종수 육군 항공기정비단장 대령은 “안정적인 국내 정비원 확보로 항공기 가동률이 향상될 것”이라며 “다양한 환경에서 운용 중인 수리온 계열 정비 경험 등 KAEMS와의 정비기술 노하우 공유에 따라 육군 기체 정비능력 향상과 발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경남 창원 한국항공서비스(KAEMS) 본사에서 열린 ‘항공기 창정비 기술교류 및 정보공유를 위한 기술교류협약서’ 체결식에서 조연기 KAEMS 대표(오른쪽)와 박종수 육군 항공기정비단 대령이 기념촬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항공서비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