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5/21/20210521073439534556.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아이콘루프, 마이아이디 월렛 파트너 론칭
국내 블록체인 기술 기업 아이콘루프가 마이아이디 월렛 파트너를 20일 공개했다. 월렛 파트너들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마이아이디 생태계를 확장하겠다는 목표다.
마이아이디 월렛 파트너는 마이아이디 플랫폼 기반으로 사용자 분산ID(DID)를 발급하고 신원 인증 데이터(크레덴셜, Credential)를 저장하는 신원지갑 기관이다. 기존의 신원인증 발급기관과 검증기관 등과 더불어 마이아이디 플랫폼 확장의 핵심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아이콘루프는 마이아이디 월렛 파트너를 대상으로 마이아이디 월렛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공개할 방침이다. 파트너사는 이를 이용해 자체 애플리케이션(앱)에 DID 로그인 등 신원 인증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마이아이디 DID를 이용하기 위해 아이콘루프의 '쯩' 앱을 거쳐야 하던 과정을 없앴다.
국내 블록체인 기술 기업 아이콘루프가 마이아이디 월렛 파트너를 20일 공개했다. 월렛 파트너들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마이아이디 생태계를 확장하겠다는 목표다.
마이아이디 월렛 파트너는 마이아이디 플랫폼 기반으로 사용자 분산ID(DID)를 발급하고 신원 인증 데이터(크레덴셜, Credential)를 저장하는 신원지갑 기관이다. 기존의 신원인증 발급기관과 검증기관 등과 더불어 마이아이디 플랫폼 확장의 핵심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아이콘루프는 마이아이디 월렛 파트너를 대상으로 마이아이디 월렛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공개할 방침이다. 파트너사는 이를 이용해 자체 애플리케이션(앱)에 DID 로그인 등 신원 인증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마이아이디 DID를 이용하기 위해 아이콘루프의 '쯩' 앱을 거쳐야 하던 과정을 없앴다.
▲솔라나, 1억달러 규모 투자 펀드 조성
블록체인 플랫폼 솔라나가 1억달러(약 1132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 펀드를 공동 조성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펀드는 후오비, 게이트랩스, NGC벤처스, 해시키, 매스가 각각 2000만달러(약 220억원)씩 투자했다.
지난 19일부터 진행된 솔라나 해커톤 '솔라나 시즌'을 통해 출범할 프로젝트들의 개발과 초기 지원을 위한 용도로도 펀드 자금을 사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솔라나 생태계의 발전을 이끈다는 목표다.
가상자산 거래소 후오비는 솔라나의 개발 인프라 관련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아이오의 자회사 게이트랩스는 초기 스타트업이 아시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암호화폐 펀드 NGC는 제품 개발, 인력 채용, 재무 관리 관련 멘토링을 제공한다. 디지털 자산 관리 그룹인 해시키는 기관과 일반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에 집중 투자하며, 지갑 서비스 매스는 스타트업의 글로벌 투자를 지원할 예정이다.
아나톨리 야코벤코 솔라나 재단 대표는 "이번 펀드를 통해 솔라나 생태계 발전과 초기 프로젝트 지원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 가상화폐 제도화에 속도
정치권이 가상화폐를 제도화하려는 움직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는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금융당국의 소극적인 태도와 대비되며 관심이 쏠리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7일 암호화폐 관련 법안을 첫 발의했다.
‘가상자산업법안’은 가상자산사업자 중 가산자산거래업자는 금융위원회 인가를 받아야 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사업자에겐 설명의무와 예치금을 고유재산과 구분해 별도로 예치해야 할 의무가 부여되고, 해킹 사고 방지 조치 의무를 위반해 손해가 났을 경우, 배상책임도 갖게 됐다.
같은 당 김병욱 의원도 지난 18일 암호화폐를 제도권 내로 편입해 불공정 거래 시 처벌하는 등 이용자 보호를 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가상자산법’을 발의했다.
법안에 따르면 가상자산거래업 또는 가상자산보관관리업을 하려는 경우 금융위원회에 등록해야 한다. 또 가상자산사업자들은 자율규제기관인 ‘가상자산산업협회’에 가입할 의무가 발생한다.
아울러 미공개중요정보를 이용하거나 가장매매, 시세조종 등 불공정 거래 행위도 금지되며 협회는 위법 행위 발견 시 금융위원회에 즉시 알려야 한다.
이밖에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도 가상자산을 발행할 때 금융위원회의 심사와 승인을 받도록 하는 내용의 ‘전자금융법 개정안’을 조만간 발의할 예정이다.
▲은행들 가상화폐 거래 제휴 기준 엄격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에 따라 시중은행들이 가상화폐 거래소들과 제휴 기준이 엄격해졌다. 실명계좌 인증 제휴를 위해 기존 보안 시스템 외에도 거래소의 지속 경영 가능성, 사회적인 평판까지 다양한 기준을 뒀다.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는 이달 초 ‘가상자산 사업자(암호화폐 거래소) 자금세탁방지(AML) 위험평가 방안’을 시중은행에 배포했다.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나선 것으로, 아직 정부가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지 않은 가운데 이뤄졌다. 은행연합회와 은행들은 외부 컨설팅 용역까지 받아 공통 평가 지침을 마련했다.
이번 방안에 따르면 은행들은 실명계좌 발급을 결정하기 위해 총 16개 항목을 점검한다. 크게 ‘법 준수’ 여부와 관련된 10개 항목, 사업을 계속할 수 있을지 여부를 담은 ‘기타요건’ 6개 항목으로 나뉜다.
은행은 제휴를 원하는 거래소가 접수한 문서를 확인하고 인터뷰를 진행한다. 이어 업체에 직접 실사도 한다. 다만 위험평가 방’에 강제성이 없는 만큼 은행들이 개별 기준을 가감해 검증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9일부터 진행된 솔라나 해커톤 '솔라나 시즌'을 통해 출범할 프로젝트들의 개발과 초기 지원을 위한 용도로도 펀드 자금을 사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솔라나 생태계의 발전을 이끈다는 목표다.
가상자산 거래소 후오비는 솔라나의 개발 인프라 관련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아이오의 자회사 게이트랩스는 초기 스타트업이 아시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암호화폐 펀드 NGC는 제품 개발, 인력 채용, 재무 관리 관련 멘토링을 제공한다. 디지털 자산 관리 그룹인 해시키는 기관과 일반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에 집중 투자하며, 지갑 서비스 매스는 스타트업의 글로벌 투자를 지원할 예정이다.
아나톨리 야코벤코 솔라나 재단 대표는 "이번 펀드를 통해 솔라나 생태계 발전과 초기 프로젝트 지원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 가상화폐 제도화에 속도
정치권이 가상화폐를 제도화하려는 움직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는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금융당국의 소극적인 태도와 대비되며 관심이 쏠리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7일 암호화폐 관련 법안을 첫 발의했다.
‘가상자산업법안’은 가상자산사업자 중 가산자산거래업자는 금융위원회 인가를 받아야 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사업자에겐 설명의무와 예치금을 고유재산과 구분해 별도로 예치해야 할 의무가 부여되고, 해킹 사고 방지 조치 의무를 위반해 손해가 났을 경우, 배상책임도 갖게 됐다.
같은 당 김병욱 의원도 지난 18일 암호화폐를 제도권 내로 편입해 불공정 거래 시 처벌하는 등 이용자 보호를 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가상자산법’을 발의했다.
법안에 따르면 가상자산거래업 또는 가상자산보관관리업을 하려는 경우 금융위원회에 등록해야 한다. 또 가상자산사업자들은 자율규제기관인 ‘가상자산산업협회’에 가입할 의무가 발생한다.
아울러 미공개중요정보를 이용하거나 가장매매, 시세조종 등 불공정 거래 행위도 금지되며 협회는 위법 행위 발견 시 금융위원회에 즉시 알려야 한다.
이밖에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도 가상자산을 발행할 때 금융위원회의 심사와 승인을 받도록 하는 내용의 ‘전자금융법 개정안’을 조만간 발의할 예정이다.
▲은행들 가상화폐 거래 제휴 기준 엄격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에 따라 시중은행들이 가상화폐 거래소들과 제휴 기준이 엄격해졌다. 실명계좌 인증 제휴를 위해 기존 보안 시스템 외에도 거래소의 지속 경영 가능성, 사회적인 평판까지 다양한 기준을 뒀다.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는 이달 초 ‘가상자산 사업자(암호화폐 거래소) 자금세탁방지(AML) 위험평가 방안’을 시중은행에 배포했다.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나선 것으로, 아직 정부가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지 않은 가운데 이뤄졌다. 은행연합회와 은행들은 외부 컨설팅 용역까지 받아 공통 평가 지침을 마련했다.
이번 방안에 따르면 은행들은 실명계좌 발급을 결정하기 위해 총 16개 항목을 점검한다. 크게 ‘법 준수’ 여부와 관련된 10개 항목, 사업을 계속할 수 있을지 여부를 담은 ‘기타요건’ 6개 항목으로 나뉜다.
은행은 제휴를 원하는 거래소가 접수한 문서를 확인하고 인터뷰를 진행한다. 이어 업체에 직접 실사도 한다. 다만 위험평가 방’에 강제성이 없는 만큼 은행들이 개별 기준을 가감해 검증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