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5/25/20210525230328535670.jpg)
중국 선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재정부 전 관계자, 부동산세 시범 도입 도시로 선전 언급
“선전과 하이난이 부동산세 시범도시가 돼야 한다.”중국 펑파이에 따르면 유명 경제학자인 자캉(賈) 전 재정부 재정과학연구소 소장은 최근 중국 부동산세 입법과 관련해 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최근 과열된 중국 부동산 시장을 고려할 때 부동산세는 최대한 빠른 입법이 진행돼야 한다며, 선전은 특히 더 높은 수준으로 부동산세 개혁을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지난해 선전을 중국 특색 사회주의 선행 시범지역으로 만들겠다는 내용의 ‘선전 시범개혁 시행안’을 발표했다. 선전과 같은 대도시에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함으로써 개혁 개방의 획기적인 진전은 물론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생태 환경, 도시 공간 등에서의 변화와 혁신을 꾀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선전이 부동산세 도입에 앞장서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뿐만 아니라 선전은 중국 내에서도 유독 부동산 투기가 심각한 지역이기 때문에 부동산세 시범 도시로 적합하다고 자 전 소장은 진단했다.
하이난을 언급한 이유도 같은 이유다. 자 전 소장은 “자유무역시험지구와 중국 특색 자유무역항으로 지정된 하이난은 부동산세 도입이 반드시 필요한 지역”이라며 “최근 부동산 투기를 단속하기 위해 전 지역의 구매 제한을 실시한 하이난에 부동산세 도입이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내 부동산세 논의 재차 과열
자 전 소장의 의견은 최근 중국 내에서 부동산세 논의가 재차 과열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 더 주목된다.지난 12일 중국 재정부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예산실무위원회와 주택도시농촌건설부, 세무총국과 함께 부동산세 개혁 및 시범 도입과 관련한 실무좌담회를 가졌다.
이에 대해 중국 전문가들은 당국이 부동산세 전면 도입을 위한 사전 정지 작업에 나선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최근 6개월 사이 당국이 부동산세를 언급한 것이 4차례나 됐고, 올 들어 중국의 집값 상승세가 가파르다는 이유에서다.
사실 중국 정부는 지난 2011년 상하이와 충칭 두 도시에서 우선 고가 주택과 다주택 소유자를 대상으로 부동산세를 시범 도입한 바 있다. 다만 매우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실제 부동산세를 내는 이들은 극소수다.
그러나 중국 당국이 수년 전부터 부동산세 도입 확대를 논의하기 시작하면서 부동산세는 몇 년째 중국의 뜨거운 감자였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이번 좌담회 개최는 좀 더 적극적인 변화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 들어 중국 당국이 수차례 부동산 가격의 상승을 문제 삼고,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중국의 시급한 해결 문제로 부의 불균형을 꼽은 바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법대 스정원 교수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좌담회는 부동산세 도입 문제를 마무리 짓겠다는 재정부의 강력한 신호”라며 “올해 일부 도시에서 시범적으로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