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5/26/20210526145806566069.jpg)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올해 중으로 수소항만 구축 방안을 마련하고 갯벌을 복원해 온실가스를 흡수할 바다숲을 조성한다. 올해 하반기에는 해양수산 탄소중립 비전과 전략을 담은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한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26일 P4G 해양 특별세션 기조연설을 통해 "2040년 한국 수소 총 소비량의 60%인 연간 300만톤 이상의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항만 기반시설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항만은 해양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에 용이하며 국가 간 수소의 수출입 및 내륙으로의 공급 거점"이라며 "수소 에너지의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올해 중으로 수소항만 구축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9년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590억톤으로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중 10억톤이 국제 해운분야에서 배출됐다. 온실가스에 대한 별다른 조치가 없을 경우 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은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50년에는 전 세계 배출량의 10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앞서 2018년 열린 국제해사기구(IMO) 총회에서는 172개 회원국이 2050년까지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8년 대비 50% 이상 감축하기로 합의했다. 2019년 9월 열린 UN 기후행동정상회의에서는 해운사, 물류사, 항만국, 선급, 정유사가 모여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선박 도입을 목표로 '탄소배출 제로 연대'를 출범시켰다.
문 장관은 "정부는 탄소중립 비전 하에 탄소배출 제로 연대의 활동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해운의 탈탄소화와 녹색 해상 공급망 구축을 위해 우리나라에 부여된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단기적으로는 LNG와 같은 저탄소 선박 보급을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수소·암모니아와 같은 무탄소 선박을 완전 상용화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한국의 국적선사인 HMM은 이날 특별세션에서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문 장관은 "국제 해운의 탈탄소화를 위해 HMM을 필두로 우리 해운산업이 모범사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정부는 친환경 선박 기술개발을 위한 R&D 투자 등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바다의 온실가스 흡수원을 확충할 방침이다.
문 장관은 "연안갯벌과 염생식물은 산림과 더불어 국제적으로 공인된 자연 기반 온실가스 흡수원"이라며 "갯벌 복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5만4000헥타르(ha) 이상의 바다숲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2050년 100만톤 이상의 온실가스를 블루카본으로 흡수하고 블루카본을 확대하기 위해 국제사회와도 적극 협력하겠다"며 "올해 하반기 중으로 해양수산 탄소중립 비전과 구체적 전략을 담아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