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대공원 텃밭 힐링포토존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어린이대공원이 코로나 시대에 맞춤형으로 변화를 시도한다.
서울시설공단은 광진구 능동 서울 어린이대공원을 시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시설개선을 진행하고, 다양한 비대면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28일 밝혔다.
공단이 위드 코로나 시대에 포스트 코로나까지 대비한 개선안의 핵심은 시설 개선과 비대면 콘텐츠 확대다.
먼저 대공원 내 휴게시설의 밀집도를 줄이면서 거리두기가 가능하도록 4인 이용 위주로 시설을 개선했다. 설치된 지 오래된 대형 파고라 3개소와 평상 2개소를 4인 기준 소형 파고라와 피크닉테이블로 교체하여 설치하고, 대공원 내 오래된 벤치도 6m 이상 간격을 두고 교체해 이용객의 밀집이 최소화 되도록 조치했다.
아울러 관람객이 집중되는 시설의 대기줄을 개선했다. 공단은 어린이를 동반한 이용객들은 개인별 줄서기가 어렵고, 일행 간 거리두기가 불필요한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기존 선 형태에서 4인 이내 일행이 함께 대기할 수 있는 ‘네모칸’ 대기줄을 놀이동산, 식물원, 열대동물관 등 총 19여 곳에 설치했다. 또 출입구를 일원화해 체온 측정 등 방역 절차가 철저히 이행될 수 있도록 했다. 피크닉 이용이 많은 잔디밭은 3m 간격을 두고 동그라미 표시를 해두어 일행 간 안전하게 휴식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어린이대공원 비대면콘텐츠 생태체험교실 [사진제공=서울시]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비대면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365 자원봉사 포털을 통해 신청한 봉사자들은 지정 장소에 비치된 활동 도구를 개인별 수령 후 자율적 봉사활동을 실시 하고, 활동보고서와 인증샷을 SNS 전송을 통해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비대면 콘텐츠 운영을 통해 물리적·시간적 장벽을 해소하고, 어린이대공원이 시민들의 일상과 더욱 가까워질 수 있을 것으로 공단은 기대하고 있다.
구의문 주변에 꽃과 나무 1만8000본이 식재 된 암석원, 테마정원을 조성해 사계절 다양한 볼거리가 제공될 수 있는 힐링 산책공간도 마련 중이다. 해당사업은 오는 7월3일까지 완료해 시민들에게 개방할 예정이다.
조성일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코로나 시대에는 안전한 방역망 속에서 쾌적하게 공원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온오프라인에서 어린이대공원을 방문한 모든 시민이 코로나로 지친 마음을 달랠 수 있도록 시설과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