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8월 한 시중은행에서 5000만원을 신용대출로 빌린 직장인 A씨(36)는 만기 연장을 앞두고 고심이 깊어졌다. 고정금리 이용 시 연 3.31%, 변동금리를 선택하면 3.02%가 적용된다는 안내를 받았기 때문이다. 금리인상기인 점을 고려하면 고정금리를 선택해야 하지만, 금리상승에 대한 기대가 시장에 반영돼 향후 금리가 예상보다 크게 오르지 않을 것으로 보여 변동금리도 눈에 밟힌다.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한 가운데 대출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기존에 변동금리로 돈을 빌린 대출자들은 고정금리로 갈아타야 할지, 신규 대출자들 역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사이에서 갈팡질팡한다.
전문가들은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금리 정상화' 시점을 저울질 중인 만큼 변동금리 이용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시장에선 급격한 금리 상승 가능성은 작을 것이란 예상도 적지 않다. 지난 6월 은행에서 신규로 대출받은 차주 10명 중 8명(81.5%)이 변동금리를 선택한 점은 시장 참가자들의 이러한 관측을 방증한다. 가계대출 변동금리 비중은 2014년 1월(85.5%)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변동금리 이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코로나19 백신 보급으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 금리가 지금보다 더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특히 신용대출의 경우 주택담보대출보다 시장금리 반영 속도가 빨라 부채관리가 필요하다. 임형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금리가 정상화하면 변동금리 비중이 크고 만기가 짧은 신용대출 차입자가 주담대 차입자보다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신용대출 차입자의 부채 관리가 필요하다"며 "금리 상승기에는 신용대출 금리가 상대적으로 더 빨리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이 대출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점도 변수다. 대출금리는 지표금리(시장금리)에 각종 가산금리와 우대금리의 가감으로 정해진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자 당국은 대출 관리 주문에 나섰고,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올리고 우대금리를 낮추는 방식으로 대출금리를 올리고 있다. 당국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를 5~6%로 잡았는데, 지난 상반기 가계대출은 전년 대비 9%가량 늘어 하반기 증가율을 3~4% 선으로 맞출 계획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대출 수요는 많지만 공급은 줄여야 하는 상황이라 금리는 앞으로도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