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의 눈에 해당하는 ADAS(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전방카메라 생산을 맡는다.
6일 LG전자에 따르면 회사가 독일 자동차 제조그룹 ‘다임러 AG(Daimler Automotive Group)’와 공동 개발한 ADAS(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전방카메라를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에 적용,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했다.
ADAS 전방카메라는 자동차의 눈 역할을 하며 다양한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주요 부품이며
차량의 앞 유리와 후방 거울 사이에 위치해 있다. 이 카메라는 LG전자 VS사업본부가 독자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해 △
자동긴급제동(Automatic Emergency Braking, AEB) △차로유지보조(Lane Keeping Assistant, LKA) △차로이탈경고(Lane Departure Warning, LDW) △정속주행보조(Adaptive Cruise Control, ACC) △교통표지판 자동인식(Traffic Sign Recognition, TSR) △지능형 전조등 제어(Intelligent Head-Light Control, IHC)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LG전자의 ADAS 전방카메라 시뮬레이션 모습 [사진=LG전자 제공]
특히 자동긴급제동와 차로이탈경고는 미국,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내년부터 출시하는 모든 차량에 적용하도록 의무화된 기능이다. 또 ADAS 전방카메라는 LG전자의 이동통신, 커넥티비티, 이미지 인식 분야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반영했다. 진화한 인공지능과 딥러닝 기술을 통해 도로 및 교통 상황에 실시간 대응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뿐 아니라 동승자, 다른 차량의 운전자, 보행자 등의 안전에도 도움이 되는 부품이다.
LG전자는 개발단계부터 다임러와 긴밀히 협업해 완성한 ADAS 전방카메라가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란 기대다. 또 이번 양산 경험을 기반으로 전장사업 포트폴리오를 더
욱 다각화할 계획이다.
앞서 LG전자의 ADAS 전방카메라는 지난 5월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TUV 라인란드(TÜV Rheinland)로부터 국제표준규격인 ‘ISO 26262 기능안전제품’ 인증을 받았다. 자율주행 핵심부품이 이 기관으로부터 해당 인증을 받은 것은 처음이다. 카메라를 만들기 위한 개발 프로세스도 ‘ISO 26262 기능안전프로세스’ 인증을 받았다.
김진용 LG전자 VS사업본부장(부사장)은 “미래 자율주행 시대를 준비하며 더욱 안전한 주행 환경
을 만들기 위해 다임러와 함께 10여 년간 많은 시도와 고민을 해왔다”며 “현재 수준에 만족하지 않고 보다 진보한 제품을 개발하
고 기술 경쟁력을 높이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
다.
LG전자가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에 'ADAS 전방카메라'를 공급한다. [사진=LG전자 제공]
한편 LG전자 VS사업본부는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혁신 파트너’라는 비전 아래 고객에게 차량 내 차
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인포
테인먼트 시스템, 커넥티비티, ADAS 솔루션 등을 개발하며 글로벌 탑티어(Top-tier)를
목표로 고객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LG전자는 인포테인먼트 중심의 VS사업본부를 비롯해 차량용 프리미엄 램프 사업을 담당
하는 ZKW, 전기차 파워트레인 분야 합작법인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등 3개 축으로 나눠 미래성장동력인 자동차 부품 사업을 추
진하고 있다.
- 기자 정보
- 석유선
- stone@ajunews.com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