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0/12/20211012183036444582.jpg)
[방송통신위원회 현판. [아주경제DB]]
방송통신위원회는 12일 국무회의에서 국내 위치정보 산업 활성화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신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진입 규제는 완화하고, 산업의 신뢰성 제고와 위치정보 보호조치는 강화하는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해당 법안은 6개월 후 시행된다.
그간 위치정보사업자는 심사를 거쳐 방통위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 앞으로는 사업목적 달성에 필요한 물적 시설, 위치정보 보호 조치 등 일정한 요건을 갖춰 방통위에 등록하기만 하면 된다.
개인위치정보 보호 조치는 강화했다. '개인위치정보의 보유목적 및 보유기간' 동의를 받도록 하고, 개인위치정보 처리방침 공개와 개인위치정보 파기 절차를 강화하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했다.
방통위는 위치정보사업 진입 장벽 완화에 따른 사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위치정보사업자의 법 준수를 유도하고 개정법에 대한 수용도 제고를 위해 다각도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최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신산업 생태계를 육성함과 동시에 위치정보의 보호를 위한 법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됐다"며 "개인위치정보는 유출이나 오·남용 시에 사생활 침해 피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위치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동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