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청와대 충무실에서 열린 한-아세안 화상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날 청와대에서는 화상으로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열렸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회의는 오후 4시부터 약 1시간 20분 동안 화상으로 진행됐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 4일에 ‘일본 100대 총리’로 취임했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의에서 “화해와 협력의 시작인 종전선언을 비롯해 평화의 한반도, 함께 번영하는 동아시아를 향한 길에 변함없는 관심과 지지를 바란다”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지지를 호소했다.
문 대통령은 아세안+3 정상회의 출범 25주년을 언급, “코로나 상황 속에서도 아세안과 한·중·일 3국은 코로나 아세안 대응기금, 아세안 필수의료물품 비축제를 도입하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협력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코백스(COVAX)에 2억 달러 공여를 약속했고 이와 별도로 이번 달 아세안 국가부터 백신 지원을 시작했다”면서 “지난해 코로나 아세안 대응기금에 100만 달러를 기여한 데 이어 올해 500만 달러를 추가 기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한국은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의 한 축으로서 공평하고 신속한 백신의 보급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의장국 브루나이 주도로 채택된 ‘청소년과 어린이의 정신건강 협력에 관한 정상성명’을 지지한다”면서 “코로나로 우울증을 겪는 청소년과 어린이들이 보편적 건강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역내 공조체계 구축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이외에도 지난해 발표한 ‘신남방정책 플러스 전략’을 ‘아세안 포괄적 경제 회복 프레임워크(ACRF)’와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곧 수립이 예정된 ‘아세안+3 협력 워크플랜 2023~2027’에 대해서도 적극 참여 의사를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역내 식량안보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기여 의지를 표명했다. 또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조기 발효 필요성과 금융안전망 구축을 위한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 활용을 제안했다.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는 아세안+3 회원국들의 유동성 위기예방·위기해결 지원을 통해 역내 금융시장 안정을 도모하는 통화스와프 체계를 뜻한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공중보건 거버넌스, 사이버안보 거버넌스 강화와 금융협력 활성화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 “RCEP과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토대로 역내 공급망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함께 이뤄 나가기를 기대한다”면서 “한국은 연내 RCEP 비준을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아세안+3는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에 대한 공동 대응을 계기로 출범한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아세안 10개국 및 한·중·일 3국간 역내 회의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