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이사가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열린 ‘농협·BGF리테일·한돈자조금 업무협약 체결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측이 '음식점 허가총량제' 논란을 진화하기 위해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의 3년 전 발언을 소환했지만, 두 발언의 의미가 동일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후보 측 박찬대 대변인은 전날 백 대표의 과거 발언을 인용해 이 후보의 음식점 허가총량제 발언을 두둔했다.
백 대표는 지난 2018년 국정감사에 출석해 "자영업의 진입 장벽을 높게 해서 준비과정을 거친 뒤에 들어와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를 인용해 이 후보가 '음식점 총량 허가제'를 거론한 배경 등에 대해 설명하며 "이 후보가 음식점 총량 허가제까지 고민한 것은 소상공인이 직면한 문제들이 정말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후보가 소상공인이 처한 어려움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27일 서울 관악구 신원시장에서 개최한 전국 소상공인·자영업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하도 식당을 열었다 망하고 해서 개미지옥 같다"며 "음식점 허가총량제를 운영해볼까 하는 생각도 있다"고 밝혀 논란을 샀다.
그러나 일부 정치권에서는 백 대표가 당시 언급한 '인스펙션(inspection, 점검·허가)'을 고리로 이 후보의 음식점 허가총량제와는 전혀 취지가 다른 것이라는 지적을 내놨다. 백 대표의 발언은 음식점 개수 등 총량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식당의 안전성 등을 점검하는 사전 허가에 가깝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백 대표는 당시 국감장에서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사실 외식업을 너무 쉽게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저도 미국에 매장을 준비하고 해봤지만 미국 같은 경우는 새로운 자리에 매장을 열려면 최소한 1년, 2년이 걸린다. 왜냐하면 '인스펙션'이 안 나오기 때문에"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희(한국) 같은 경우는 신고만 하면 바로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즉 음식점 개수 제한을 의미하는 이 후보의 허가총량제와 백 대표가 3년 전 언급한 '인스펙션'은 의미가 다르다는 게 일부 정치권의 지적이다.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후보 측 박찬대 대변인은 전날 백 대표의 과거 발언을 인용해 이 후보의 음식점 허가총량제 발언을 두둔했다.
백 대표는 지난 2018년 국정감사에 출석해 "자영업의 진입 장벽을 높게 해서 준비과정을 거친 뒤에 들어와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를 인용해 이 후보가 '음식점 총량 허가제'를 거론한 배경 등에 대해 설명하며 "이 후보가 음식점 총량 허가제까지 고민한 것은 소상공인이 직면한 문제들이 정말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후보가 소상공인이 처한 어려움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27일 서울 관악구 신원시장에서 개최한 전국 소상공인·자영업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하도 식당을 열었다 망하고 해서 개미지옥 같다"며 "음식점 허가총량제를 운영해볼까 하는 생각도 있다"고 밝혀 논란을 샀다.
실제로 백 대표는 당시 국감장에서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사실 외식업을 너무 쉽게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저도 미국에 매장을 준비하고 해봤지만 미국 같은 경우는 새로운 자리에 매장을 열려면 최소한 1년, 2년이 걸린다. 왜냐하면 '인스펙션'이 안 나오기 때문에"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희(한국) 같은 경우는 신고만 하면 바로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즉 음식점 개수 제한을 의미하는 이 후보의 허가총량제와 백 대표가 3년 전 언급한 '인스펙션'은 의미가 다르다는 게 일부 정치권의 지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