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리공공하수처리장[사진=구리시]
시에 따르면 이런 내용으로 신청한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부분 변경)이 지난 1일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최종 승인됐다.
구리 공공하수처리장은 지난 1989년 건설돼 32년째 운영 중이다. 하지만 정밀안전 진단 결과 D등급으로 평가돼 방류 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시설도 노후해 작업 근로자가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고, 악취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 하루 처리용량 16만톤 중 남양주 덕소·도농·금곡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하루 6만톤을 대신 처리해왔다.
시는 이런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하수처리장을 재건설하기로 했다.
오는 2029년까지 하수처리장 지하에 10만톤 규모의 하수처리시설과 물 재생이용시설 등을 건설하고, 지상에는 문화·체육 공원, 생태공원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내년 예산 확보, 설계,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거쳐 2025년 착공한다는 방침이다.
안승남 시장은 "국비 등 외부 재원을 받아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고, 수처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원을 보호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며 "하수처리장을 지하화해 도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환경을 보전하는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