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경제·금융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으로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높은 가계부채를 꼽았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미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달 9~22일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권 협회 및 금융·경제 연구소 직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담당자 등 8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한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많이 지목(단순응답 기준)된 리스크는 단연 글로벌 인플레이션(55%)과 높은 가계부채(53%)였다. 두 리스크에 대한 응답 비중이 지난 조사보다 상승해 응답자 절반 이상의 선택을 받았다. 여기에 미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42%), 부동산시장 불확실성(36%), 장기시장금리 상승(24%) 등이 주요 리스크 요인에 포함됐다.
앞서 지난 상반기 조사 당시 순위권에 들었던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접종 지연 가능성, 미·중갈등 심화 등은 이번 조사에서는 빠졌다. 대신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과 장기 시장금리 상승 등이 이번 조사에서 새롭게 지목됐다.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1년 이내에 현실화될 가능성은 직전 조사보다 다소 높아졌다. 단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매우높음, 높음)는 응답 비중은 12%로 이전 조사보다 3%포인트 확대됐다. 반면 이 같은 시스템 리스크가 단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은 47%에서 39%로 하락했다. 중기 시계(1~3년)에서도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응답비율이 상향(29%→36%)됐다.
단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불확실성, 장기 시장금리 상승, 글로벌 자산의 급격한 조정 가능성이 꼽혔다. 높은 가계부채,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은 중기에 현재화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특히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발생 시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도 크다고 분석했다.
향후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높음(5%), 높음(51%), 보통(41%)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전체의 97%를 차지하는 등 이전 조사(99%)와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한편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선 가계부채 관리와 코로나19 지원의 질서있는 정상화, 부동산시장 안정이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가운데서도 과도한 규제에는 다소 신중할 필요가 있고, 금융기관 역시 차주의 상환능력을 점검하는 등 부실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은은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지원조치 정상화 시 채무상환부담이 증대될 가능성이 높은 점, 경제 각 부문별 회복 정도가 서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