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2/08/20211208095008973705.jpg)
‘2021 동해포럼 강원 물류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개최되고 있다.[사진=이동원 기자]
‘2021 동해포럼 강원 물류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지난 7일 오후 2시 동해 현진관광호텔 4층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강원도와 동해시가 주최하고 (재)북방물류산업진흥원이 주관하여 동해지방해수청 후원으로 개최된 이번 포럼은 동해북부선 착공 및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 발표 등 영동권 철도망 확장에 따른 물류환경 변화와 동해신항 민자부두 건설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번 포럼에서 김영식 강릉원주대 교수와 홍득표 동해지방해수청 항만물류과장이 주제발표자로 각각 동해북부선 개통과 복합물류단지 조성, 동해항 개발 및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2/08/20211208095213446877.jpg)
종합토론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이동원 기자]
심규언 북방물류산업진흥원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정부의 제4차 철도망 구축계획에 동부중부선의 전철화, 동해신항 인입선건설이 포함돼 영동지역 전체의 교통과 물류환경이 가시화 됐다”며, “동해신항은 북방경제 시대의 전초기지 역할을 충분이 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김기하 동해시의회 의장은 “동해시는 동해, 묵호항을 보유한 강원도의 해상관문도시로 환동해권의 산업, 물류, 관광중심도시, 북방교역의 전진기지로의 성장이 용이한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며, “이러한 특성을 잘 활용해 물류환경 변화를 접목하고 이 포럼에서 유익한 의견들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라며, “더불어 의회에서도 참신하고 합리적인 정책적 대안이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2/08/20211208095355181617.jpg)
김영식 강원원주대 교수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사진=이동원 기자]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2/08/20211208095601355054.jpg)
홍득표 동해지방해양수산청 항만물류과장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사진=이동원 기자]
이어, 동해신항 개발 계획의 목적은 동해항의 선박 채선율을 해소하고 북방교역 물동량 증가에 대비하여 7선석(최대 10만톤급)을 확보하는 사업이다고 했다.
한편, 이번포럼에서 동해신항의 역할이 특히 주목되는 이유는 현정부와 전세계적으로 저탄소시대를 펼쳐나가는데 앞서 미래산업인 수소산업의 로드맵을 생성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에 더욱 더 주목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