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28/20220228160905660247.jpg)
동해 대진항 전경[사진=동해시]
지난 2월 8일자 본지에서는 심상화 강원도의회 도의원(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제306회 강원도의회 임시회 본회의장에서 "동해시 대진항 어촌뉴딜 300사업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제하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목소리를 높였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날 심 의원은“강원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고도 2020년, 2021년 두 번 실패한 동해시 대진항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자유발언으로 이의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최문순 지사에게 “2022년도에는 동해시 대진항이 인구소멸위기 대응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포스트 어촌뉴딜사업에 선정되어 어달항과 연계해, 그 파급효과를 더욱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또, 심 의원은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어촌뉴딜300사업은 전국 300개의 어촌·어항을 통합하여 낙후된 인프라를 현대화하고 해양관광 활성화를 통해 국민여가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으로 2024년까지 총사업비 3조 원이 투자되며, 개소당 100억원 전후가 지원된다”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28/20220228161042341738.jpg)
심상화 강원도의회 도의원(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제306회 강원도의회 임시회 본회의장에서 제하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사진=이동원 기자]
참고로 선정지(4개소)는 강원도 동해시, 전남 고흥군, 충남 태안군, 경남 거제시 이다.
Post-어촌뉴딜 사업은 기존 추진돼 왔던 어촌뉴딜 300사업의 후속사업으로 어촌생활권(어촌마을) 단위의 보건, 의료, 교육, 문화 등 어촌의 생활서비스 공급과 정주여건을 개선하는 등 어촌인구의 유입 증대를 통해 어촌 소멸을 방지하고자 추진되는 사업이다.
이와 관련해 사업은 총사업비는 최대70억원(국비 70%, 지방비 30%)이 투입돼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년간 추진된다.
특히, 동해시 대진항의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기존 뉴딜사업 최종심사에서 2년간의 탈락 끝에 세 번째 도전 만에 선정된 것으로 그 의미가 더욱 커 지역주민들도 크게 반기는 분위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