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임실군청]
23일 임실군에 따르면 군민안전보험은 일상생활 중 대중교통 이용사고, 화재 및 농기계 사고 등 예기치 못한 각종 사고로부터 피해를 입었을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보장제도다.
2019년부터 시행된 임실 군민안전보험의 수혜를 받은 군민은 17에 달한다.
이중 농기계 사망 및 후유장해 12건, 화재폭발 및 가스사고 후유장애 등 3건, 감염병 사망 2건 등으로, 총 9710만원의 보험금이 지급됐다.
군민안전보험은 임실군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군민이라면 누구나 별도의 가입 절차, 비용 없이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사고 발생 이후 3년 이내에 신청하면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보장내용으로는 △자연재해 상해사망, 폭발 화재 붕괴 상해사망‧후유장애,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사망‧후유장애 등에는 보장금 1000만원 △뺑소니 무보험차 상해사망‧후유장애 및 익사사고 사망, 강력범죄 상해에는 500만원의 보험금이 지급된다.
보험계약자는 임실군청이며, 보험수익자는 피보험자 본인 혹은 법정상속인이 지급받게된다.
청구 사유가 발생할 시 공통서류인 보험금 청구서, 주민등록등(초)본, 신분증 사본, 통장 사본을 준비해 보험사에 청구하면 된다.
임실군, 개발부담금 제도 홍보에 주력

[사진=임실군청]
개발부담금 제도는 1990년 1월에 도입돼 각종 인‧허가에 따른 지목이 변경되는 토지 개발사업 시행으로 발생한 이익의 일정액을 환수해 토지 투기를 방지하고, 환수액을 국토균형발전 재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운영하는 제도이다.
도시지역의 경우 990㎡ 이상, 비도시지역의 경우 1650㎡ 이상 개발사업이 부과 대상으로 개발이익의 25%를 부과한다.
개발이익은 부과종료시점의 지가에서 부과개시시점의 지가와 정상지가 상승분, 개발비용을 모두 합한 비용을 제하는 방식으로 계산한다.
대표적인 사업에는 택지개발사업, 산업단지개발사업, 관광단지조성사업, 도시개발 및 도시환경 정비사업, 교통시설 및 물류시설용지조성사업, 체육시설 부지조성사업, 지목변경이 수반되는 사업 등 8개다.
납부 의무자는 개발사업의 준공 인가 등을 받은 경우 40일 이내에 개발비용 산출명세서를 군에 제출해야 하며, 개발비용 관련 자료를 미제출하거나 불성실하게 제출하면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