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1/07/20221107070831564651.jpg)
[이미지=서울시]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1/07/20221107070912763338.jpg)
서울시청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서울시가 도심 내 높이계획과 역사문화 자원 관리기준을 유연화하는 내용의 '서울도심 기본계획'을 공개한다.
시는 오는 8일 오전 10시 시청 후생동 강당에서 서울도심 기본계획안 공청회를 열고 주요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서울도심 기본계획은 '서울시 한양도성 역사도심 특별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한다. 향후 5년간 서울도심 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전략과제를 마련하는 서울도심 발전 전략의 청사진이다.
앞서 발표된 2015년 기본계획은 서울 도심부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도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시는 기본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보완이 필요해졌다며 이번 계획에서는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등 그동안의 여건 변화를 반영해 역사 보존과 개발이 공존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활력있는 도심, 매력 넘치는 도심'으로 비전을 설정하고 △미래성장도심 △직주복합도심 △녹지생태도심 △역사문화도심 △고품격도심 등 5대 전략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도심 내 높이계획과 역사문화자원 등 관리기준을 유연화했다. 높이계획은 기존의 최고높이를 기준높이로 변경하고, 기준높이를 녹지확충 등 공공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 데 활용하도록 했다. 구체적인 높이계획은 후속 계획(지구단위계획, 정비계획)에서 내놓도록 했다.
또한 도심 내 역사문화자원 목록은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에서 일원화해 관리하고, 주요 관리대상은 공공의 역할과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그 외 건축자산은 보존 시 허용용적률 등 혜택을 제공해 보존을 유도한다.
이밖에 기존 기간산업의 혁신을 위해 '4+1축' 육성사업을 추진하고 금융·업무, 신산업 허브 등 조성한다. 4+1축은 남북 4대축(광화문∼시청 '국가중심축', 인사동∼명동 '역사문화관광축', 종묘∼퇴계로 일대 '남북녹지축',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복합문화축')과 동서 방향의 '글로벌 상업축'을 말한다.
시는 또한 일자리가 가까운 곳에 주거지를 늘리기 위해 주거복합개발을 유도하고 구릉지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활동 인구가 밀집한 고밀지역에는 실질적인 녹지공간을 확충한다. 또 역사문화자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특성관리지구와 건축자산 관광자원 활용, 특색 있는 보행 가로환경 조성 등을 진행한다. 낙후된 구도심에서는 지역 특성을 살린 정비와 장소별 디자인 사업을 추진한다.
서울 도심 기본계획안은 향후 관계부서 협의,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등 후속 과정에서 바뀔 수 있다. 시는 올해 12월 기본계획을 확정해 공고할 예정이다.
여장권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서울 도심의 역사 문화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개발·정비와 풍부한 녹지 조성 등을 통해 도심을 재창조하겠다"며 "서울 도심의 경쟁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