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1/07/20221107165955281714.jpg)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재난안전관리체계 점검 및 제도 개선책 논의를 위해 열린 국가안전시스템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안전사고 예방할 책임이 어디에 있나. 경찰에 있다"며 "이태원 참사가 제도가 미비해서 생긴 것인가. 나는 납득이 안 된다"고 경찰 당국을 작심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2시간 동안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를 주재하며 이같이 말했다고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초저녁부터 첫 112 신고가 들어올 정도가 되면 아마 거의 아비규환의 상황이 아니었겠나 싶은데, 그 상황에서 경찰이 권한이 없다는 말이 나올 수 있나"라고 꼬집었다.
이어 "소방서는 예방도 물론 하지만 사고 발생 직후부터 119 구급대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것"이라며 "사고를 막는 것은, 그리고 위험을 감지해야 하는 것은 경찰에게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이태원 현장) 여기에 사람들이 많이 몰릴 거 같다든지 그런 정보를 경찰, 일선 용산서가 모른다는 것은 상식 밖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왜 4시간 동안 물끄러미 쳐다만 보고 있었느냐, 현장에 나가있었는데 112 신고 안 들어와도 조치를 했었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거듭 질타했다.
윤 대통령은 "재난의 컨트롤타워, 안전의 컨트롤타워는 대통령이 맞다. 모든 국가 위험과 사무의 컨트롤타워는 대통령"이라면서도 "그런데 이것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보고체계나 이런 것들이 신속하게 되느냐가 중요하다"고도 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번 비공개 회의 발언 공개는 '국민들에게 가감없이 회의 내용을 전달하라'는 윤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은 이번 사안에 대해 어떤 한 점의 의혹도 남기지 말고, 국민에게 최대한 상세하게 공개돼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갖고 계신다"며 "철저하고 엄정하게 진상을 확인하고, 거기에 맞춰 책임을 묻겠다는 강력한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2시간 동안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를 주재하며 이같이 말했다고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초저녁부터 첫 112 신고가 들어올 정도가 되면 아마 거의 아비규환의 상황이 아니었겠나 싶은데, 그 상황에서 경찰이 권한이 없다는 말이 나올 수 있나"라고 꼬집었다.
이어 "소방서는 예방도 물론 하지만 사고 발생 직후부터 119 구급대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것"이라며 "사고를 막는 것은, 그리고 위험을 감지해야 하는 것은 경찰에게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재난의 컨트롤타워, 안전의 컨트롤타워는 대통령이 맞다. 모든 국가 위험과 사무의 컨트롤타워는 대통령"이라면서도 "그런데 이것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보고체계나 이런 것들이 신속하게 되느냐가 중요하다"고도 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번 비공개 회의 발언 공개는 '국민들에게 가감없이 회의 내용을 전달하라'는 윤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은 이번 사안에 대해 어떤 한 점의 의혹도 남기지 말고, 국민에게 최대한 상세하게 공개돼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갖고 계신다"며 "철저하고 엄정하게 진상을 확인하고, 거기에 맞춰 책임을 묻겠다는 강력한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소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