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2/07/20221207175205630958.jpg)
조선왕실 전통화장품 '화협옹주 도자에디션' 출시 [사진=연합뉴스]
화협옹주(1733∼1752)는 조선시대 영조의 딸이자 사도세자 친누이다. 11세인 1743년 훗날 영의정을 지낸 신만의 아들 신광후와 혼인했으며, 20세에 홍역으로 사망했다.
화협옹주묘에서는 생전에 사용한 화장품 용기를 포함해 총 47건 93점의 유물이 출토됐다. 출토유물 연구 성과는 2019년 국제학술대회와 특별전시를 통해 공개됐다.
화협옹주묘(남양주시 삼패동 소재)에서는 지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발굴조사를 통해 생전에 사용한 화장도구와 화장품들이 대거 출토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공개 행사에서는 옹주의 화장품 용기인 조선 청화백자를 바탕으로 제작한 별도 화장품 용기에 담은 제품을 선보였다.
이번에 선보인 에디션은 고운 손크림과 입술연지 세트와 고운 손크림 단품에 이어 본격적으로 출시한 첫 제품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온전히 발굴된 조선시대 화장품 유물을 토대로 보존처리, 재질분석, 성분확인, 화장품 내용물에 대한 연구를 두루 진행했다. 당시 화장품에 사용된 재료에 대한 과학적․인문학적 연구 성과를 담은 본격적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전통문화와 공예의 조화를 현대적인 상품으로 구현한 사업 개발의 본보기 사례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제품명은 '화협옹주 미안고·미안자기'다. 연고 형태의 얼굴 보습용 화장품인 미안고는 동백나무씨기름(오일)과 당호박씨기름, 쌀겨기름 같은 전통재료가 함유됐다. 또 얼굴을 마사지하는 도구(괄사)인 미안자기는 청화백자 재질로 이뤄졌다.
제품 용기 디자인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미술공예학과 이정용 교수팀에서 맡았으며 코스맥스(주)의 디자인팀과 공동디자인 특허출원(2건)과 등록(1건)을 마쳤다.
조선왕실 화장품을 K-뷰티로 되살려낸 의미가 있는 만큼 고풍스러운 청화백자로 제작된 용기는 200년 전 조선의 옹주가 사용한 고급스러운 왕실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출시 화장품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이 위탁판매를 맡아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상품매장(아트샵 ‘사랑’)과 재단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