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내년 부동산 상승할 것, 5% 불과"...2명 중 1명은 부동산 투자 가치 '낮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지연 기자
입력 2022-12-13 08: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022년 미래주택 소비자 인식조사' 조사 결과

향후 1년 부동산시세 전망 올라갈 것 응답률 추이. [그래프=피데스개발]

100명 중 95명은 현 주거지의 향후 1년 부동산 시세에 대해 '하락'을 전망했다. 수도권 주택 소유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다.

13일 피데스개발과 대우건설, 이지스자산운용, 한국자산신탁, 해안건축이 공동으로 더리서치그룹을 통해 수도권 주택 소유자 1000명을 대상으로 '2022년 미래주택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1%만 현 거주지 향후 1년 부동산 시세가 '올라갈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2015년 조사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작년 53.5%와 비교해서 48.4%p 줄어든 수치다. 연도별 추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부동산 시세 상승 전망은 2015년 40.4%를 기록 후 지속적으로 줄어들다가 2018년 19.0%를 찍고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늘어났다가 올해 대폭 줄었다.

부동산 정책이 향후 부동산 거래(매도·매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매우 영향 있다(0.7%)', '영향 있는 편이다(28.0%)'로 응답자의 28.7%가 '영향이 있다'고 답변했다.

부동산 투자가치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현재보다 매우 낮을 것(8.0%)', '낮을 것(42.8%)', '유사한 수준(40.9%)', '높을 것(7.8%)', '매우 높을 것(0.5%)'이라는 응답률을 보였다.

특히 부동산 투자 가치가 '낮을 것'으로 응답한 비율은 50.8%였는데 이 수치는 지난해(6.6%)에 비해 44.2%p 늘었다.

응답자들은 향후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 '실수요·투자 수요 시장 모두 위축'(37.7%)이란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실거주자 위주의 시장 전개'(28.6%), 양극화 등 지역별 차이가 날 것'(18.7%), '투자자 위주의 시장전개'(9.7%), '변화없음'(5.3%) 순으로 응답했다.

선호하는 주택 차별화 테마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커뮤니티 특화주택'(41.1%), '헬스케어 건강주택'(38.9%), '조경 특화주택'(36.4%), '고급 인테리어주택'(33.2%) 순으로 응답했다. 특히 커뮤니티 특화주택은 작년 4위(26.8%)에서 올해 1위(41.1%)로 선호도가 급상승했다.
 
향후 주거시설을 구입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내적 요인으로는 '내부 평면구조'(21.3%)를 꼽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부대시설'(16.8%), '조경시설'(13.9%), '전망·조망'(13.8%), '단지배치·향'(11.3%) 순으로 답했다. 

공동조사팀 관계자는 "예년에 비해 정책 등 주택시장 변수에 수요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했고, 응답률 변화폭이 그 어느 때보다 컸다"면서 "코로나19 영향으로 아파트 단지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부대시설, 조경시설에 대한 중요성도 커지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최근 공동주택은 지하주차장을 만들면서 지상에는 공원을 조성하고, 휘트니스센터, 사우나, 연회장 등 커뮤니티 시설을 늘리고 있는데 이런 시설이 거의 없는 1기 신도시 이전 노후 아파트 단지는 재건축, 재개발 등 공간재생을 통해 수요에 맞는 공간으로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서울, 인천, 경기지역 35~69세 1000명을 대상으로 1:1개별 면접조사 방식으로 2022년 9~11월까지 진행됐다. 표본오차 ±3.1%(95% 신뢰 수준)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