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칼럼] 혁신의 미래 보여준 CES 2023···우리는 얼마나 준비됐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수지 기자
입력 2023-01-12 05: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

세계적인 전자제품박람회로 손꼽히는 ‘소비자가전박람회(CES) 2023'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1월 5~8일 개최됐다. 1967년 최초로 뉴욕에서 개최된 후 1998년부터는 라스베이거스에서 연 1회 개최되어온 명실공히 세계 최대 전자제품박람회다. 올해 제56회인 이번 박람회에는 173개국에서 3100여 개 기업이 참여해 지난해 2200여 개에 비해 900여 개나 더 많이 참가하고 관람객 10만여 명이 방문해 성황을 이뤘다. 한국은 미국 다음으로 많은 600여 개 기업이 참여해 관람객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MICE산업이 얼마나 많은 고용을 차출하는지 진면목을 보여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CES 2023은 초연결·초융합·초지능 그리고 영역 간 파괴가 일어나는 빅블러로 요약되는 4차 산업혁명의 파괴적 혁신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실감 나게 하는 혁신의 향연이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이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이용한 메타버스였다. 머지않아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오가는 메타 세계가 인류의 일상이 될 것임을 예고해 줬다. 이에 따라 앞으로 수년간은 이러한 메타 세계를 더욱 실감 나게 할 증강현실(AR) 기기와 가상현실(VR) 기기의 발전이 획기적으로 일어날 것임도 알려줬다.

차세대 자율주행 전기차 모빌리티와 도심공중모빌리티(UAM)도 주목을 받았다. 2020년에는 현대차가 도심공중모빌리티(UAM), 즉 하늘을 나는 플라잉 택시를 선보여 가장 많은 주목을 받았는데 이번에는 SK그룹이 UAM을 선보였고 현대는 자율주행 선박 등 오션모빌리트를 소개했다.

미래 모빌리티는 ‘메타 모빌리티’가 될 것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2022년에 이어 소개해 주목을 받은 바 있는데 이번에도 ‘메타 모빌리티’가 강조됐다. 모빌리티 안에서 가상 세계인 메타버스에 접속하고 다시 현실 세계로 돌아오기도 하는 일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등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의 완전한 융합이 모빌리티 안에서 일어나는 시대라는 의미다.

이 모든 것을 연결해서 자동으로 구현하게 해주는 초연결 시스템이 스마트싱스(smart things)다. 메인 전시관에 참가 업체 중 가장 넓은 면적(3368㎡)의 부스를 마련한 삼성전자는 전 세계 140억개의 전자기기를 통합 연결하겠다는 비전을 선보였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홈 기능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을 공개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홈 기능은 주로 삼성전자가 생산한 상품을 중심으로 활용됐지만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은 아마존, 구글, LG전자 등 다른 기업 제품과도 호환이 가능하도록 문턱을 낮췄다. 이를 바탕으로 전 세계 140억개 기기를 연결해 '초연결 사회'를 구현한다는 게 삼성전자의 전략이라는 해석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에서는 역시 한국이 강국임을 자랑했다. 유기발광다이오(OLED), 퀀텀닷(quantum dot), 발광다이오드(QLED)를 이용한 화려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스마트공장, 스마트홈, 헬스케어 등 생활 속으로 확산되고 있는 인공지능과 로봇은 물론 차세대 친환경 스마트농업도 선보였다.

라스베이거스 CES 2023은 한마디로 초연결·초융합·초지능 빅블러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이 무서울 정도로 빠른 속도로 이미 우리 곁에 다가오고 있어 한순간 방심하면 낙오되어 후진국으로 추락할 수밖에 없을 것임을 실감케 하는 현장이었다. 안타까운 점은 한국 기업들은 앞서 살펴본 것처럼 밖에서는 펄펄 나는 세계 초일류 기업으로서 면모를 유감없이 과시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갖은 규제와 반기업 정책으로 위축되어 갈수록 대기업 비중이 줄어들고 양질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우버·타다에 이어 로톡(법률서비스 플랫폼), 택스테크(세무회계), 프롭테크(부동산 기술) 등 각 분야 혁신 서비스가 각종 규제로 번번이 좌절되고 있다. 헬스케어 기술을 바탕으로 한 원격진료가 속속 선보이고 해외에서는 허용되고 있는데도 국내에서는 20년 넘게 시범 운용만 하고 있다. 플라잉 택시는 항공과 운수 관련 규제, 개인용 모빌리티는 운수 관련 규제, 드론은 항공 관련 규제로 가능할 수 있을지 확실하지 않은 실정이다.

메타버스에서 각종 거래는 가상화폐로 이루어지고 거래를 통해 번 가상화폐는 거래소를 통해 법정화폐로 교환하게 되는데 한국에서는 가상화폐 관련 각종 규제에 겹겹이 둘러싸여 있는 실정이다. 이러니 양질의 일자리가 생길 수 없다. 아마존은 고용 인원이 2010년에 10만명이었으나 새로운 유통혁명으로 지금은 70만명이라고 한다. 혁신이 새로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빠른 속도로 혁신하는 4차 산업혁명에 뒤지지 않고 앞서가는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네거티브 규제’ ‘선 허가, 후 규제’ 방식으로 규제 형식을 획기적으로 전환하고 기득권에 집착해 혁신을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정치력이 절실하다. 그러면 해외에서 펄펄 날고 있는 기업들이 한국으로 돌아와 뛰면서 한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것은 불문가지다.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