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내 고교 평준화 단독 시행 인지도 [사진=박용선 경북도의원]
‘포항시 고교 평준화 인식도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긍정’ 46.9%, ‘부정’ 45.9%, ‘모름’ 7.2%로 조사됐다.
계층 별로는 남성은 ‘부정(52.1%)’ 비율이 높았고, 여성은 ‘긍정(50.8%)’ 비율이 높아 성별 간 차이를 보였다. 지역 별로는 남구 ‘긍정’ 47.8%, ‘부정’ 46.0%, 북구 ‘긍정’ 46.2%, ‘부정’ 45.7%로 나타났다.
연령 별로는 20대 ‘긍정’ 37.6%, ‘부정’ 62.4%, 30대 ‘긍정’ 37.0%, ‘부정’ 58.1%, 40대 ‘긍정’ 44.6%, ‘부정’ 52.0%로 부정 비율이 높았고, 50대 ‘긍정’ 52.1%, ‘부정’ 37.6%, 60세 이상 ‘긍정’ 52.5%, ‘부정’ 36.5%로 긍정 비율이 높았다.

고교 평준화 부정적 이유 [사진=박용선 경북도의원]
부정 평가 이유는 ‘학력 수준 하향 평준화’가 44.7%로 가장 높았고, ‘우수 학생의 타 도시 유출’ 19.7%, ‘공교육 황폐화’ 11.6%, ‘학교 평판도 저하’ 10.1%, ‘비평준화 쏠림’ 8.3%, ‘기타’ 5.6%순이다.

고교 평준화 긍정적 평가 이유 [사진=박용선 경북도의원]
남성은 ‘폐지’ 43.5%, 여성은 ‘개선 후 유지’ 42.8%로 가장 높았고, 지역 별로는 남구는 ‘폐지’ 38.8%, 북구는 ‘개선 후 유지’ 38.9%로 다소 높았다.
연령 별 조사에서는 20대의 ‘폐지’ 응답 비율이 53.7%로 가장 높았고, 30대(41.5%), 40대(42.9%)도 폐지 비율이 높았다. 50대(47.9%)와 60세 이상(37.1%)은 ‘개선 후 유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평준화 지역인 경주시와 비교했을 때 주요 대학 진학률이 1/3 수준으로 줄어든 것에 대해 알고 있는가’를 물은 학력 저하 인지도 조사에서는 54.2%가 ‘알고 있다’, 45.8%는 ‘모른다’라고 응답했다.

고교 평준화 정책 인식도 [사진=박]
학부모의 인지도(59.4%)가 비학부모(50.7%)층에 비해 높게 나타나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결과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경북내 고교 평준화 단독 시행 인지도’ 조사에서는 ‘인지’ 75.3%, ‘미인지’ 24.7%로 조사됐다. 초‧중‧고 재학 중인 자녀가 있는 학부모 층의 인지도(79.0%)가 비학부모 층(72.9%)에 비해 높았고, 연령 별로는 30대(86.7%)와 40대(85.8%)가 타 연령 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12일부터 14일까지 포항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유‧무선 전화 ARS 여론조사 방식을 활용했으며,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