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상장사들의 현금배당 규모가 전년 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면서 총 배당 규모도 30조원 아래로 떨어졌다.
30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결산 유가증권·코스닥시장 상장법인 중 현금배당(분기·중간배당 제외, 주식·현금 동시배당 포함)을 집계한 결과 배당금 총액은 28조5282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348억원(6.7%) 감소했다.
2020년 34조7827억원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뒤 2년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다만 배당회사 수는 2021년 1155개사에서 지난해 1170개사로 15곳 늘었다.
예탁결제원은 "유가증권시장 주가지수의 전년 대비 하락률(24.9%)이 배당금 감소율보다 높고 코스닥시장도 주가지수 하락률(34.3%)이 배당금 감소율보다 높았다"고 설명했다.

[사진=한국예탁결제원]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2조4530억원으로 가장 많이 배당했다. 이어 현대차(1조5725억원) 기아(1조4033억원)가 순이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리노공업(455억원)이 가장 많은 배당금을 지급했고, 에코프로비엠(439억원), 에스엠(284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외국인 주주에게 지급된 배당금은 9조235억원으로 전체 배당금의 31.6% 규모에 달했다. 다만 외국인 주주 대상 배당금 총액은 전년 대비 9.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주주의 국적은 총 배당금의 42.5%인 3조8325억원을 챙긴 미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 영국(8.3%), 싱가포르(5.9%) 등 순으로 많았다.
외국인 주주 이외에는 국내 법인이 10조8478억원(38.0%), 국내 개인이 8조6569억원(30.4%)의 결산 배당금을 각각 지급받았다.
특히 국내 개인 주주 가운데는 50∼60대 주주가 국내 개인에게 지급된 배당금의 55.5%를 수령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2조7427억원(31.7%)로 가장 많았고 60대 2조621억원(23.8%), 70대 이상 1조5844억원(18.3%) 순으로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