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친환경 신소재 '카다베린' 생산... 화이트바이오 사업 확대 속도

  • 카다베린, 나일론·폴리우레탄 기초 원료로 쓰여

임정배 대상 대표이사 사장. [사진=대상]

대상이 화이트바이오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대상은 최근 카다베린의 샘플의 시범 생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카다베린(CAD)은 주로 나일론이나 폴리우레탄 생산을 위해 기초 원료로 쓰이는 바이오매스 기반의 친환경 소재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라이신을 원료로 사용하며, 생산 공정상 기존 석유계 소재인 헥사메틸렌디아민(HMDA)에 비해 탄소배출량이 적어 탄소 중립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카다베린을 적용해 생산한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은 기존 석유계 원료로 만든 것과 동일하게 섬유, 플라스틱, 페인트, 잉크, 에폭수지 등에 쓰일 수 있다. 아직 상업화 초기 단계이나 향후 카다베린이 석유계 소재를 완전히 대체한다면 잠재 수요가 2026년 160만톤(t)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상은 앞으로 소재사업 부문에서 보유 중인 발효 제조 기술력을 바탕으로 라이신을 원료로 한 카다베린을 직접 생산할 예정이다. 특히 주원료인 라이신을 군산 바이오 공장에서 자체 생산하고 있어 카다베린의 단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대상은 현재 시범 생산 이후 샘플 테스트 과정을 거치면서 화학섬유 기업 등 국내외 수요처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대상 관계자는 “전세계적인 탈(脫) 탄소 흐름에 발맞춰 친환경 화이트바이오 생태계 구축을 위해 다양한 소재를 연구·개발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바이오 소재를 발굴해 K-신소재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