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떨어지자 이사 가는 세입자… 서울 아파트 전세 갱신계약 '뚝'

다방
다방


전셋값이 하락하면서 재계약보다 새로운 집을 찾아 떠난 임차인들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국토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올해 서울시 아파트의 1~7월 전세 거래 8만4372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신규 계약은 4만6946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7%(1만762건) 늘어난 반면, 같은 기간 재계약(연장+갱신)은 5만1798건에서 3만7426건으로 27.7%(1만4372건) 감소했다. 

이 기간 서울 소재 아파트의 평균 전세 보증금은 5억62만원으로, 지난해 1~7월 평균(5억3517만원)보다 평균 3455만원(6.5%) 하락했다.

특히 재계약 중 기존 조건을 그대로 연장하는 '연장 계약'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계약 조건을 바꿔 재계약하는 '갱신 계약' 비중은 크게 하락했다. 지난해 1~7월의 경우 갱신 계약은 전체 전세 거래 중 3만5499건으로 40.3%를 차지했는데, 올해 1~7월 갱신 계약 비중은 28.9%(2만4409건)에 불과했다.

갱신 계약 시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비중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1~7월 계약갱신청구권 사용은 2만5542건으로 서울 아파트 전체 전세 거래의 30%에 육박한 반면, 올해는 같은 기간 8833건으로 10.5%에 불과해 1년 새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장준형 다방 마케팅실장은 "전셋값이 하락하는 시기에는 급격한 전셋값 인상을 막고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계약갱신청구권 제도가 무색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