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또 "정부의 의지와 정책이 현장에서 우리 없이 작동되도록 해야 하는 특별한 임무가 우리 부에 부여돼 있다는 것도 명심하고 있다"면서 "현장의 빈틈은 행안부가 메우고 부족한 것은 행안부가 채워야 한다. 막힌 것은 뚫고 묶인 것은 푸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어 "우리는 제자리걸음만 할 수 없다. 조직은 탄생 순간부터 끊임없는 변화의 대상"이라며 "두려움 없이 변화에 한 번 도전해 보겠다. 앞으로 부딪힐 숱한 정책 난제를 슬기롭게 헤쳐나가보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이날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기상 위기를 이제까지의 재난 대책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 기존의 재난대응체계를 확 바꾸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취임사에서 밝혔다.
그는 "재난 관리는 불확실성과의 싸움으로, 언제 어디서 어떤 모습으로 다가올 지 모를 각종 재난을 상대해야 하는 일"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기후 변화는 이제 기상 위기가 됐고 각종 도시시설은 급(격히) 노후화돼 적절한 대처가 없다면 언제든 재난의 씨앗이 될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전환될 수 있다"고 걱정했다.

이 본부장은 중앙·지방 정부의 역량을 높여 재난 예방과 대응에 적극 나설 것을 약속했다.
그는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켜내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며 "이를 위해 인명피해 우려 지역 관리를 강화하고 사회재난 위험 요소를 지속 발굴하겠다. 위험 지역에 대한 사전통제와 주민대피는 보다 철저하게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재난 관리에 있어 예방을 더욱 공고하게 다지겠다"면서 "기상 위기에 따른 재난에 대비해 재난대응체계를 확립하고 이 과정에서 민간 전문가의 아이디어와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