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충남대 내포캠퍼스 2027년 문 연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내포=허희만 기자
입력 2024-02-19 13:51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10년 가까이 지지부진했던 충남대 내포캠퍼스가 2027년 드디어 문을 연다.

    합의각서에는 2027년 신입생 모집을 시작으로 2035년까지 1100명 규모의 충남대 내포캠퍼스 조성을 목표로 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담겼다.

    충남대는 교육부 대학설립·개편심사위원회 심의 등 내포캠퍼스 설립에 필요한 절차를 신속하게 마무리하는 한편 추가 학과 신설 등 노력도 하기로 했다.

  • 글자크기 설정
  • - 충도-충남대-홍성군, 1100명 규모 내포캠퍼스 설립 협약(MOA) 체결

  • - 김태흠 지사 "10년 숙원 해결, 하루빨리 도민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할 것"

사진허희만기자
김태흠 지사(오른쪽부터)와 이진숙 충남대 총장, 이용록 홍성군수가 ‘충남대 내포캠퍼스 설립을 위한 충남도·충남대·홍성군 합의각서(MOA)’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허희만기자]

10년 가까이 지지부진했던 충남대 내포캠퍼스가 2027년 드디어 문을 연다.
충남도는 19일 도청 상황실에서 김태흠 지사와 이진숙 충남대 총장, 이용록 홍성군수가 ‘충남대 내포캠퍼스 설립을 위한 충남도·충남대·홍성군 합의각서(MOA)’에 서명했다. 
합의각서에는 2027년 신입생 모집을 시작으로 2035년까지 1100명 규모의 충남대 내포캠퍼스 조성을 목표로 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담겼다.
충남대는 교육부 대학설립·개편심사위원회 심의 등 내포캠퍼스 설립에 필요한 절차를 신속하게 마무리하는 한편 추가 학과 신설 등 노력도 하기로 했다. 도와 홍성군은 내포캠퍼스 설립에 필요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약속했다.
내포캠퍼스 설립은 기반 조성(2025∼2027년), 정착(2027∼2031년), 확장(2031∼2035년) 등 세 단계로 나눠 추진된다.
계획 인원은 총 1100명이며 학부 600명, 대학원 400명, 연구센터 100명으로 구성됐다. 2027년 440명으로 시작해 2031년 870명, 2035년 1100명 등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기반 조성 단계에서는 수의방역 등 2개 학과와 대학원 동물보건 등 2개 학과 전공을 신설하고, 원·웰페어밸리 연구센터를 신설하기로 했다.
정착 단계에서는 스마트모빌리티 등 2개 학과 전공, 대학원은 자치행정 등 4개 학과 전공을 만들고 그린시스템융합 등 2개 연구센터를 설립한다. 마지막 확장 단계에서는 첨단 해양수산 등 2개 학과 전공에 해양수산정책 등 대학원 전공 2개를 추가한다.
해양환경수산실증연구센터도 신설할 방침이다. 도는 내포캠퍼스 설립에 따라 방역·동물 보건 분야, 첨단 농업시스템, 해양·수산 분야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충남대 내포캠퍼스 설립 논의가 시작된 것은 민선 7기 때인 2015년 7월이다. 도는 2년여 동안 논의 끝에 2017년 12월 충남대와 내포캠퍼스 설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이듬해 3월에는 설립 추진 협의체도 구성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충남도청 이전을 위한 도시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 조례' 개정을 통해 대학 설립 지원 근거를 마련했지만 가장 큰 걸림돌인 '국립학교설치령' 개정은 이뤄내지 못했다.
도와 충남대는 2019년 12월에도 내포캠퍼스 설립을 위한 합의각서에 서명했으나 법적 근거는 여전히 마련하지 못했다. 내포캠퍼스 설립은 2015년 첫 논의 후 두 차례 협약만 체결한 채 10년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한 채 지지부진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국립학교설치령이 개정됐다. 대학설립·개편심사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쳤을 때에는 해당 학교 소재지 외 지역에도 교육 기본시설과 지원시설, 연구시설을 둘 수 있게 됐다.
김 지사는 "취임하자마자 국립학교설치령 규제를 풀어 달라고 국무총리와 교육부 장관에게 강력하게 요구했다"며 "220만 도민의 대학인 충남대가 하루빨리 도민의 품으로 돌아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