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안장 김기주·한응규 지사 유해, 내년 광복절 국내 봉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송윤서 기자
입력 2024-04-04 15:49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2025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지구 반대편 브라질에 안장된 광복군 출신 독립유공자 유해가 국내로 봉환된다.

    국가보훈부는 4일 일제강점기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창설한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김기주·한응규 지사 유해를 국내로 봉환한다고 밝혔다.

    두 지사는 광복 후 브라질에 이민했으며 현지 공동묘지에 안장됐다.

  • 글자크기 설정
  • 일제강점기 광복군 활동…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보훈부, 아르헨티나·미국 묘소 점검…유족과 봉환 협의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했던 김기주왼족과 한응규 지사 사진연합뉴스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김기주(왼쪽)와 한응규 지사. [사진=연합뉴스]
2025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지구 반대편 브라질에 안장된 광복군 출신 독립유공자 유해가 국내로 봉환된다.

국가보훈부는 4일 일제강점기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창설한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김기주·한응규 지사 유해를 국내로 봉환한다고 밝혔다. 두 지사는 광복 후 브라질에 이민했으며 현지 공동묘지에 안장됐다.

보훈부에 따르면 일본군에 강제 징집됐던 김 지사는 탈출 후 광복군 총사령부 보충대에 입대해 독립운동을 펼쳤다. 한 지사 또한 일본군에서 탈출한 후 광복군 제2지대 제3구대에 들어가 정보 수집과 모병 활동을 전개했다. 특히 김 지사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6·25전쟁 당시 육군 제17연대 소속으로 공적을 세워 충무무공훈장을 받기도 했다. 

1971년 브라질로 이민을 간 김 지사는 2013년 별세해 브라질 상파울루에 있는 공동묘지에 묻혔다. 한 지사는 1972년 브라질에 이민해 2003년 세상을 떠난 뒤 브라질 쿠리치바 소재 공동묘지에 안장됐다. 정부는 1990년 두 지사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보훈부는 최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있는 광복군 출신 장덕기 지사 묘소와 미국 조지아주에 있는 독립유공자 김재은·원대성 지사 묘소, 테네시주에 안장된 정성장 지사 묘소도 점검했다. 유해 국내 봉환 여부는 각 유족과 협의를 거쳐 결정할 계획이다. 

한편 보훈부는 1990년대 초부터 세계 각지에 안장된 독립유공자 묘소 위치를 확인하고 있다. 현재까지 미국과 중국, 러시아 등 18개국에서 총 346기를 파악했으며 이 중 148위를 국내로 봉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