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기업 초저가 상품이 담긴 택배 박스를 열어보는 ‘알리깡’, ‘테무깡’ 콘텐츠가 범람하고 있다. 저렴한 가격과 무료 배송에 재미 삼아 구매 버튼을 클릭한 젊은 소비층이 유튜브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콘텐츠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국내 다수 크리에이터 리뷰 영상을 보면 알리깡·테무깡에서 성공한 물건을 찾을 확률은 희박하다. 약한 내구성과 실망스러운 제품력이 주요 원인이다. 크리에이터들이 사들였다 실패한 상품은 곧바로 쓰레기통으로 향한다. 소비자 가격 경쟁력이 '예쁜 쓰레기'가 되는 아이러니가 된 셈이다.
고물가에 시름이 깊어진 소비자에게 중국발(發) 초저가 상품은 나쁠 게 없는 선택지다. 그러나 중국 이커머스 기업이 한국 시장에 공격적으로 침투하는 동안 저품질 제품으로 인한 국내 소비자 피해는 방치되고 있다.
이 같은 저품질 상품의 대량 유통은 강력한 제재 수단이 없는 현 상황에서 기인한다. 현행법상 알리익스프레스·테무 중국 이커머스 기업에는 KC인증 획득 의무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 해외 직구 제품들은 별도의 안전 검증 없이 그대로 수입돼 유통되고 있다.
실제로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기업에서 판매 중인 배송료 포함 600~4000원짜리 장신구에서 기준치의 700배를 초과하는 발암물질인 카드뮴, 납이 검출된 바 있다. 카드뮴과 납은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인체 발암가능 물질’이다.
정부 차원에서 중국 이커머스 기업에 대한 대응은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다. 지난달 부랴부랴 대책을 내놓는 듯 했지만 결국 자율규제로 일단락됐다. 알리의 무분별한 유통을 막기 위해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 기업이 자율적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미다. 상반기 중 알리익스프레스와 자율협약을 체결한다고 했지만 이마저도 감감무소식이다. 마땅한 대책 없이 시간을 흘려보낼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을 보호할 법적 규제를 시급히 마련해야 할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